
스키 인구가 감소하면서, 눈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스키장이 늘고 있다. 눈썰매장과 눈 조각 공원 등이 핵심 시설이다. 스키를 타지 못해도 즐길 거리가 많다. 휘닉스 평창도 150m의 눈썰매장을 갖춘 ‘스노우 빌리지’를 내놨다. 임현동 기자
달빛 아래서 미끄럼을

스노우 빌리지의 튜브 눈썰매장. 슬로프가 파도처럼 굴곡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백종현 기자
“으아아앙!”
썰매를 타고 울퉁불퉁한 슬로프를 미끄러져 내려오는 아이들의 입에서 어김없이 비명이 터진다.
스노 보더의 성지로 통하는 휘닉스 평창이 올해 가장 공들인 시설은 의외로 눈썰매장이다. 눈썰매장을 비롯한 스노 테마파크 ‘스노우 빌리지’를 올겨울 처음 선보이기 때문이다. 눈 테마파크의 무대는 겨울 휴장에 들어간 스키장 옆 골프장. 지난달부터 끊임없이 인공 눈을 뿌리고 다져 눈 세상을 만들었다.
스노우 빌리지의 대표 시설은 150m 길이의 눈썰매장이다. 길이는 평범하지만, 슬로프에서 올림픽 정식 코스를 만든 내공이 느껴진다. 평평하고 너른 일반 썰매 슬로프와 달리 경사면이 울룩불룩 굴곡져 있다.

스노우 빌리지의 눈 조각 공원. 중국에서 온 눈 조각팀의 여러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임현동 기자
눈썰매장 위쪽의 너른 눈밭은 어트랙션 존이다. 스노우 모빌이 대여섯 명을 실은 고무보트를 매달고 설원을 질주한다. 핸들과 브레이크가 달린 바이크형 썰매는 직접 운전하는 재미가 크다. 눈으로 세운 대형 미로는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다. 평평하고 완만한 전통 눈썰매장도 있어 취향대로 즐길 수 있다.
판타지 존의 눈 조각 공원은 포토 존이다. 산타클로스,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등 익숙한 캐릭터가 눈 조각으로 정교하게 재현돼 있다. 태백산 눈꽃 축제의 눈 조각을 만든 중국 팀의 솜씨다.

해가 지면 스노우 빌리지 전체에 오색 불이 들어온다. 12m 높이의 크리스마스 트리 앞이 특히 눈부시다. 백종현 기자
이용정보
주간 오전 10시~오후 5시, 야간 오후 6시~오후 9시 개장. 입장권 1만5000원, 자유이용권(4시간) 2만5000원(투숙객은 1만7000원). 단지 내 호텔과 콘도, 스노우 빌리지 매표소를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가 20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워터 슬라이드처럼 짜릿

비발디파크 스노위랜드의 래프팅 눈썰매. 올해 신설한 썰매장으로, 4~6명 함께 썰매를 즐길 수 있다. 시원스러운 산세 풍경을 내다보며 미끄러진다. 백종현 기자
스노위랜드는 강원도 매봉산(650m) 자락 460m 높이 산등성이에 들어서 있다. 비발디파크 메인센터에서 스노위랜드로 올라가는 전용 곤돌라를 타면 8분 만에 닿는다.
대개의 눈썰매장은 ‘동심’이나 ‘추억팔이’에 집중한다. 스노위랜드는 다르다. ‘스릴’이 핵심이다. 눈썰매장마다 ‘스릴 레벨’이 붙어 있는데, 레이싱 썰매장이 별 4개(5개 만점)로 가장 난도가 높다. 당연히 네 개 썰매장 중 제일 줄이 길다. 생김새나 타는 방식은 흡사 워터 슬라이드 같다. 튜브를 타고 급경사의 슬라이드를 내려와 완만한 눈밭으로 미끄러지는 구조다. 오션월드에서 쌓인 노하우와 기술이 눈썰매장에도 도입된 게다.

스노위랜드의 대표 시설 레이싱 썰매. 20·30도 경사의 슬라이드를 타고 내려와 눈밭으로 미끄러진다. 백종현 기자
올해 처음 선보이는 래프팅 썰매장(스릴 레벨 별3개)은 경사가 20도에 불과하지만, 6인까지 함께 탈 수 있어 가족 이용자에게 인기가 높았다. 눈사람 만드는 도구를 비롯해 각종 겨울 장난감이 쌓여 있는 플레이 그라운드는 아이들의 사랑을 독차지했다.

스노위랜드 눈밭에서 눈장난을 하는 어린이의 모습. 플레이그라운드에서 무료로 장난감을 빌려준다. 백종현 기자
이용정보
오전 10시~오후 4시 30분, 야간 오후 6시 30분~10시 개장. 입장권 1만8000원, 주간권 4만 3000원(투숙객 10% 할인). 강남‧건대입구 등 서울·수도권의 75개 승차장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