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청와대 직통전화까지 모두 끊겠다, 죗값 치러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 연합뉴스

탈북민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하며 남북관계 단절의 첫 순서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철폐를 공언했던 북한이 9일 정오부터 정상 간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9일 “2020년 6월 9일 12시부터 북남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 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전했다.

통신은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전날 대남사업 부서 사업총화회의에서 이러한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통신은 김 제1부부장과 김 부위원장이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했다”며 “우선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완전 차단해버릴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어 “남조선 당국과 더이상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통신연락선 차단·폐기는)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공간을 완전 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통신은 또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면서 “다른 문제도 아닌 그 문제에서만은 용서나 기회란 있을 수 없다”며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해주어야 한다. 우리는 최고존엄만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으며 목숨을 내대고 사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8년 9월 14일 개성공단에서 열린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조명균 당시 통일부 장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18년 9월 14일 개성공단에서 열린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에서 조명균 당시 통일부 장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앞서 북한은 김 제1부부장의 담화와 통일전선부 대변인 담화를 통해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한 바 있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금강산 관광 폐지, 개성공단 완전 철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연락사무소 폐쇄 등을 거론했고, 이튿날 통일전선부는 “할 일도 없이 개성공업지구에 틀고 앉아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부터 결단코 철폐할 것”이라면서 첫 조치로 연락사무소 폐쇄를 언급했다.

연락사무소는 2018년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의 결실로, 지난 2018년 9월 개소했다. 연락사무소는 특별한 현안이 없더라도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두 차례에 걸쳐 업무 개시와 마감 통화가 이뤄져 왔다.

그러나 지난 8일 북한이 개소 이후 처음으로 우리 측의 전화를 받지 않으면서 김 제1부부장의 경고가 이행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고, 9일 북한은 남북 간 모든 통신연락선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