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5월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50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 참석, 격려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입법조사처는 미래 발전량 예측에 따른 전력 생산 비용도 추산했다. 원전과 석탄화력 및 천연가스(LNG) 발전소 건설을 모두 허용한 탈원전 정책 이전 상태를 ‘최적시스템’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원전과 석탄발전기를 모두 폐기하는 대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는 시나리오를 ‘탄소중립시스템’으로 두고 각각 전력 생산 비용 및 단가 등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생산 가격을 1kWh당 170원으로 가정했을 경우 최적시스템을 적용했을 때 올해 전력 생산 비용은 35조5600억원이 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반면 탄소중립시스템의 경우 36조9600억원으로 추산돼 최적시스템 대비 1조4000억원의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스템에 따른 비용 격차는 해마다 급속히 늘었다. 5년 뒤인 2026년엔 최적시스템의 경우 31조 3200억원, 탄소중립시스템의 경우 46조82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해 15조5000억원의 차이를 보였다. 10년 뒤인 2031년엔 각각 35조7200억원, 56조7500억원의 비용 발생이 예측돼 차이가 21조300억원으로 늘어났다. 또 정부가 탄소중립 원년으로 꼽는 2050년엔 각각 54조1900억원, 127조300억원으로 비용 격차가 72조8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입법조사처는 예측했다.
이같은 예측에 따라 입법조사처가 분석한 최적시스템 대비 누적 손실은 5년 뒤 58조500억원, 10년 뒤엔 177조4300억원,30년 뒤인 2050년엔 1067조4000억원에 달했다.
입법조사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증가에 따라 발전 생산단가도 급속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적시스템의 경우 1kWh당 발전비용은 올해 59.74원, 2050년 59.97원으로 거의 동일했다. 반면 탄소중립시스템의 경우 올해 1kWh당 발전비용은 67.8원이었지만, 2050년엔 141.01원으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