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으로 토론 늘릴 것”... ‘침대 축구’ 尹에 압박 수위 높이는 민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입법을 통해 TV토론 횟수를 늘리겠다는 구상을 밝히고 있다. 임현동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입법을 통해 TV토론 횟수를 늘리겠다는 구상을 밝히고 있다. 임현동 기자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인데, 계속 TV 토론을 안 나오고 도망 다니고 있잖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BBS 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직격하며 한 말이다. 송 대표는 “압도적 우위에 있으면 전략상, 정치공학상 TV 토론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윤 후보가 압도적 우위라고 볼 수가 없지 않나”라며 “윤 후보의 모습을 보면 ‘참 준비가 안 돼 있구나’ 이것을 많은 국민들이 확인할 수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날 민주당 선대위 소속 핵심 의원들은 일제히 윤 후보의 TV토론 거부를 맹비난했다. 선대위 정무실장인 윤건영 의원은 “토론을 피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대단히 온당치 못하다”고 했고, 박주민 선대위 방송토론콘텐츠단장은 “(이재명) 후보가 여러 차례 소상공인 관련 재난지원 같은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하자고 얘기했는데 응하지 않고 있다”며 윤 후보 측을 압박했다. 민주당에선 최근 3차례 법정 토론 외엔 TV토론을 거부하고 있는 윤 후보 측의 대응을 “침대 축구”에 빗대며 조소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날 “최소한 7회 이상으로 법정 토론을 의무화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송영길 대표)며 TV토론 횟수를 둘러싼 ‘입법전’ 가능성을 내비쳤던 민주당은, 이날은 선거법을 심사하는 국회 정치개혁특위로 무대를 옮겨 공세를 이어갔다. 법정 TV토론 횟수를 6회로 늘리는 법안을 대표 발의한 김승남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 정개특위 전체회의에서 “국민의 알 권리 보장과 공정한 정책 경쟁의 선거를 이루기 위해서는 대선 토론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세환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으로부터 “제도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끌어냈다.

민주당이 대선을 70여 일 앞두고 TV토론 횟수를 늘리는 법안을 밀어붙일 수 있을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린다. 선거법은 여야 합의로 통과시키는 게 국회 관례고, 1월 임시국회는 개최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이날 민주당 내부에서도 “야당이 동의하지 않으면 이번 대선에 적용하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윤건영 의원)이란 전망이 나온 이유다. 다만 이날 박주민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우선은 법 발의 등을 통해서 좀 압박을 해보고, 국민들의 토론 요구가 굉장히 높으면 좀 더 적극적으로 입법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말하며, 강행 처리 가능성도 열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