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성대국제컨퍼런스가 14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렸다. 장진영 기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총, 균, 쇠』저자로 유명한 재러드 다이아몬드 성균관대 석좌교수 겸 UCLA 지리학과 교수는 14일 ‘대격변의 시대’를 주제로 열린 제1회 성대국제컨퍼런스에서 인류가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아니라 핵무기와 기후변화, 자원고갈, 불평등이라고 지적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이날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 키요테루 쯔쯔이 스탠퍼드대 사회학과 교수와 대담하는 첫 번째 세션에서 “코로나19는 최악의 경우에도 사망률 2%에 불과하다”며 “그에 반해 핵무기와 기후변화 같은 문제는 인류를 말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더 치명적인 문제이고, 당장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 명의 교수가 세계적인 위기와 도전에 대해 온라인 화상 대담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김준영 성균관대 이사장이 제1회 성대국제컨퍼런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김준영 성균관대 이사장은 이번 행사를 개최한 이유에 대해 “다이아몬드 교수가 출간한 책 『대변동』(Upheaval·2020년 국내 출간)에서 영감을 받았다”며 “세계 각국의 큰 변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11월 성균관대학교 학생을 위한 다이아몬드 교수의 수업을 듣고 크게 공감했다”며 “지금의 대변화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시민이 동시에 겪는 일인 만큼 국가와 개인이 힘을 합쳐 위기를 헤쳐나가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 덕분에 국가 협력 기회 열려”
다이아몬드 교수가 꼽은 첫 번째 위험 요소는 핵전쟁이다. 최근 국제 사회에서 그 위험성이 간과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 북한, 파키스탄 등은 여전히 핵전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최악의 경우 핵겨울(핵전쟁 발생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저온 현상)이 올 수도 있다”며 “이미 다이너마이트를 사용 중인 테러리스트는 5년, 또는 10년 내 더티밤(재래식 폭탄에 방사성 물질을 결합해 만든 일종의 살포장치)까지 손에 넣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재러드 다이아몬드 교수가 화상으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21세기 이후로 점점 더 깊어지는 불평등도 인류가 당면한 과제다. 국가 내 불평등뿐 아니라 국가 간 불평등도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더 심각한 불평등에 빠진다면 부유한 지역의 주택들은 불타오르기 시작할 것”이라며 “가난한 미국인이 안전할 때까지 부자 미국인은 안전하지 않을 것이며, 몽골과 볼리비아가 안전할 때까지 미국은 안전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핑커 “인류, 기술 혁신으로 위기 잘 넘길 것”
저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빈 서판』 등으로 알려진 핑커 교수는 “인간은 부정적인 면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과장하기 쉽다”며 “과거에도 21세기가 되면 미국·소련이 지도에서 사라지고 핵전쟁으로 인류가 멸망한다는 연구가 존재했는데, 실제로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위험성 면에서 지나친 확신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원 고갈 문제에 대해서도 핑커 교수는 기술의 혁신만 뒷받침된다면 큰 문제가 아니라고 봤다. 그는 “인구 증가를 억제하지 않으면 언젠가 인간이 자멸할 것이라는 주장과 ‘인구 폭발’이라는 개념, 자원 고갈에 대한 경고도 1950년대부터 있었다”며 “그러나 지난 20년간 인류는 새로운 기술 개발로 매번 문제를 해결해왔고, 오히려 지니계수(빈부 격차와 계층 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에 따르면 절대 빈곤이 줄어드는 등 세상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쯔쯔이 “불평등은 과거 아닌 이웃과 비교할 문제”

제1회 성대국제컨퍼런스가 14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렸다. 해외 석학들은 화상을 통해 의견을 나눴다. 장진영 기자
두번째 세션은 ‘불평등, 정치적 양극화, 그리고 국가의 권력’을 주제로 시실리아 멘지바 UCLA 사회학과 교수의 강제 이주에 대한 발표로 시작됐다. 멘지바 교수는 “중남미에서 많은 이들이 불평등의 증폭, 가난, 사회안전망 부재 등의 이유로 국경을 넘고 있다”고 말했다. 아만다 멀디 조지아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전 세계 인구 68%가 독재 정권하에 산다”며 “정치적 극단주의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에밀리 류 서던캘리포니아대 법학과 교수와 조원빈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각국의 입장에서 이주와 인권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다가오는 대격변, AI와 소셜굿’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 번째 세션에는 마이클 번스타인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사이먼 성일 우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 융합학과 교수, 김주호 카이스트대 전산학부 교수, 최준희 성균관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교수, 찰스 크랩트리 다트머스대 정치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마지막 세션에는 월터 우디 파웰 스탠퍼드대 교육대학원 교수, 김영한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박성민 성균관대 행정학과 교수 등이 ‘비영리조직과 도시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대격변의 위기를 헤쳐나갈 해법을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