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한 교회에 놓인 푸드뱅크용 긴급 식량 박스. EPA=연합뉴스
많은 나라에서 활용하는 '푸드뱅크'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팔리지 않고 유통기한이 애매하게 남은 음식들을 싸게 팔거나 기부하는 식이다. 미국은 민간 구호 단체와 식품 제조업체, 식당, 농부 등이 협력해 저소득층에 음식을 제공한다. 영국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잉여 식품을 지역 자선단체 등에 재분배하면서 사회적 취약 계층을 챙긴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범정부 차원의 대응 법안을 내놓은 국가도 많다. 일본은 2019년부터 '식품 손실 감소 추진법'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 소비자 등이 협력해 음식 쓰레기를 줄이고 식품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환경성 등 6개 부처가 소비자 교육과 업체 지원, 실태조사 등을 진행한다.
The JoongAng Quiz
도전! 음식 쓰레기 퀴즈왕
헷갈리는 음식 쓰레기 분리배출법을 퀴즈로 알아보세요.
The JoongAng Quiz
Q1 : 다음중 음식 쓰레기로 버릴 수 있는 것은
정답 : 4번 수박껍질 ( 현행법상 음식물류 폐기물이 되기 위한 기준은 '동물 사료로 활용될 수 있는가'입니다. 동물이 먹을 수 없는 생선뼈, 양파껍질, 파뿌리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
The JoongAng Quiz
Q2 : 음식 쓰레기 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정답 : 1번 음식 쓰레기 소각은 불법이다 ( )
The JoongAng Quiz
Q3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 오물분쇄기는 거름망을 제거하면 안된다
- 2 : 오물분쇄기는 건더기의 80% 이상을 거를 수 있어야 한다
- 3 : 처리기를 거친 음식 쓰레기는 종량제봉투에 버린다
- 4 :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하수도법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정답 : 3번 처리기를 거친 음식 쓰레기는 종량제봉투에 버린다 ( )
The JoongAng Quiz
Q4 : 음식 쓰레기를 버리는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정답 : 2번 액체로 된 약품은 싱크대, 변기 등으로 버린다 ( )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보관 방법 등만 제대로 지키면 유통기한을 넘겨 섭취해도 별문제가 없는데 지나치게 많은 음식이 버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EU에서 발생하는 연 8800만t의 음식물쓰레기 중 약 10%가 날짜 표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코네티컷주의 한 학교에서 아이들이 점심 먹고 남은 음식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앞으로는 각종 기술을 활용해 음식 쓰레기를 편리하게 줄이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국에선 버려진 빵이나 과자, 채소를 활용해 포도당·영양제 원료로 만드는 등 부가가치를 높이는 자원화가 이뤄졌다. 앱으로 식품 바코드를 찍으면 유통기한 인식 후 기한에 임박해 알려주는 기술도 해외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