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들이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거나 내놓고 있다. 서울시는 이르면 6월부터 '1인 가구를 위한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시작한다. 사진은 서울 광진구 자양동 일대 빌라 및 다세대 주택 밀집 지역.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21/5dc52ba1-ccfe-4f4f-b639-dfe7a70da0a7.jpg)
전국 지자체들이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거나 내놓고 있다. 서울시는 이르면 6월부터 '1인 가구를 위한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시작한다. 사진은 서울 광진구 자양동 일대 빌라 및 다세대 주택 밀집 지역. [뉴스1]
허씨 뿐 아니다. 온라인에서는 비슷한 고충을 털어놓는 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월세 사기 피해가 잇따르는 현실에서 불안감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부동산을 계약할 때 전문가가 도와준다면…’ 서울시가 1인 가구를 위한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를 도입한 이유다.
이르면 6월 5개 자치구서 시범 실시
![부동산 중개업소 자료사진.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21/73779266-5745-4c41-871b-d14364246d90.jpg)
부동산 중개업소 자료사진. [뉴스1]
부산, 전국 처음 '여성 안전타운' 조성
부산시는 원룸 사이 어둡고 좁은 골목 등을 환하게 바꾸고, 방범창과 가스배관 덮개 등을 지원한다. 편의점을 안심 지킴이집으로 운영하고,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방범 순찰대도 둘 예정이다.

1인가구 성·연령대별 비중.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1인 가구 지원사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1.7%(2020년 기준)에 달한다. 세 집 중 한 집이 혼자 산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9.1%로 가장 많고, 30대도 16.8%로 높은 편이다. 그만큼 청년층 사이에서 1인 가구비중이 상당하단 의미다. 혼자 사는 70대 이상은 18.1%로 집계됐다. 해당 연령은 고독사 발생위험이 높다고 한다.
또 여성 1인 가구는 20대(18.5%)가, 남성 1인 가구는 30대(21.6%)가 많다. 전문가들은 여성 1인 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범죄에 취약하다고 지적한다. 이밖에 1인 가구의 한 해 평균 소득은 2164만 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 평균(5924만 원)의 절반 이하다. 1인 가구는 고령화와 비혼으로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자체들도 이런 1인 가구 특성에 맞춰 여러 정책을 시행 중이다.

1인가구 연령대별 비중.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인가구 주거유형.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울산, 고립문제 해결 위한 앱 운영
울산시 복지인구정책과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사회적 고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라 앱 서비스를 시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사회 안정망 강화에 주목한 충남
15개 시·군별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 형성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연령·지역별 1인 가구의 특색에 맞췄다. 청년층은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중장년층은 일상생활 유지 관리 교육을 지원한다. 충남도 관계자는 “고령층을 대상으로는 심리상담과 웰다잉(Well Dying) 준비교육도 진행한다”고 말했다.
주택 임대료를 지원하는 곳도 있다. 충남 예산군은 지역 내 임대주택이나 기숙사에 주민등록을 둔 만 18세부터 39세 이하의 1인 가구에게 월 5만 원씩 연 60만 원의 임대료를 준다. 대전시 유성구는 1인 가구 지원정책을 발굴하는 ‘외로움해소팀’을 따로 두고 있다.
대구 동구, 여성 대상 범죄 막는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수요 분석 등을 통해 지원 정책을 도입해야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당부한다. 이정희 서울시립대 행정학과 교수는 “무분별한 지원보다는 1인 가구에 대한 수요 조사와 니즈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원책 개발이 필요할 것 같다”며 “지원책을 만들 때는 시민들의 삶 모든 과정에 대한 분석과 이해도 우선시 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