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퇴직 인력, 특허심사관 1000~2000명 채용"
![중국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 모습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21/46252754-aa82-4660-b622-b9f60abfe70d.jpg)
중국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 모습 [연합뉴스]
특허청과 국가정보원 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핵심 기술 해외 유출 사례는 121건이며, 이로 인한 피해액만 20조 원에 달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퇴직 핵심인력을 전문임기제 특허심사관으로 채용하기로 했다. 채용 규모는 올해부터 5년 동안 1000~2000명을 순차적으로 선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무관(5급) 대우로 5년 단위로 계약해 최대 3차례까지 연장하는 조건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 등에서 퇴직하는 인력은 연간 1500명 정도다. 또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2020년부터 올해까지 퇴직자는 1000명에 달한다.
퇴직 전문 인력 채용으로 일자리 창출, 산업 보호

김부겸 국무총리가 지난해 12월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퇴직 전문인력을 특허심사관으로 채용하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은 핵심인력 해외 이직 등에 따른 인력 관리 부담을 덜 수 있다. 또 퇴직 고급 인력을 활용해 산업을 보호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특허청의 특허심사관 업무량을 줄여 특허 관리를 꼼꼼히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현재 특허심사관 935명이 연간 250~300건의 특허를 심사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중국 등보다 2~4배 많은 업무량”이라고 했다. 2020년 기준 미국은 특허심사관 1명이 74건, 중국은 109건을 심사했다.
"세계는 기술 패권 전쟁"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주성엔지니어링 R&D센터를 방문, 주요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반도체 분야 인력만 미국이 30만 명, 중국이 25만 명 부족해 인력 확보 전쟁을 하는 중”이라며 “중국은 한국의 반도체 등 주요 산업 인력에 고액 연봉을 제시하며 스카우트하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