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의원들이 지난달 30일 제396회 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 앞서 ‘검수완박’ 법안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검찰청법 개정안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손피켓을 들고 있다. 뉴스1
“검찰 시대 저문다?” 경찰 전관 영입 바람분다
2020년 1월 13일 검경수사권 조정 법안 통과 전만해도 한자릿 수에 불과했던 경찰 출신 전문 인력들이 일제히 두자릿수로 진입한 것이다. 경찰청장‧지방청장 등 고위직들을 고문으로 영입하는 것은 물론 일선 팀장(경감)‧반장(경위) 급들도 영입하는 등 규모가 커진 것은 물론 직급까지 다양화‧전문화돼가는 모양새다.
로펌의 경찰 영입 키워드는 ‘경찰대’ 출신과 ‘수사 실무 경험’으로 요약된다. 특히 각종 경제범죄‧지능범죄‧사이버수사 등 전문성이 있는 부서에서 근무해본 경찰 출신들을 선호한다고 한다. 사기‧횡령‧배임 등 숫자가 복잡한 범죄들은 특히 관련 사건이 많은 경찰서나 부서에서 근무해봤는지 차이가 극명하게 갈린다는 것이다.
당초 어느 정도 법률 지식을 갖추고 있고 실무 경험과 인맥이 풍부하다는 이유에서 서장(총경)이나 과장(경정)급도 선호됐지만, 최근에는 변호사 자격이 없는 고위직이나 팀장‧반장 급의 초급 간부 출신도 실무 경험이 있다면 적극 영입하는 경우가 많다. 설사 직접 변호를 맡지 못한다 하더라도 사건 진행 흐름이나 일선 경찰서 수사 동향을 파악한다거나 간접적으로나마 사건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김앤장은 최근 서울지방경찰청 수사과장 및 경찰수사연구원장을 지낸 김근식(사법연수원 27기) 변호사를 영입했다. 김앤장은 이제껏 정확한 경찰 전관 숫자를 공개한 적은 없다. 그러나 검경수사권 조정 전부터 일찌감치 변호사 자격증이 없는 경찰 수사관들을 전문위원 자격으로 다수 영입해왔다. 이에 따라 수년 전부터 경찰 출신 변호사만 40여명, 고문이나 전문위원까지 포함하면 70~80명 정도로 국내 최대의 인력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광장은 지난해 정채민(34기) 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범죄분석과장(총경)을 영입해 정 전 총경을 팀장으로 하는 ‘경찰수사대응팀’을 운영 중이다. 해당 팀에는 18대 경찰청장 출신 이성한 고문을 비롯해 경찰청 수사국‧분당서 사이버팀‧대구청 지능범죄수사대 등에서 근무한 경찰 출신 인력들이 포진해있다.
세종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LH 특별수사단에 참여했던 정윤도(변시 8회) 전 경정, 서울청 경제범죄수사팀 등에서 근무한 한상훈(변시 11회) 전 경정, 강남경찰서장을 역임하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근무한 이재훈(36기) 변호사 등이 속한 경찰수사대응팀(SPID팀)을 지난해 하반기부터 운영 중이다. 화우는 검‧경 출신 변호사가 함께 속해있던 형사대응팀을 개편해 전 부산지방경찰청장 허영범 고문을 비롯해 경찰청 수사기획과‧성남 중원서 수사과, 전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팀장 등을 영입해 아예 경찰수사대응팀을 신설했다.
태평양은 상반기 중으로 전 대전지방경찰청장 출신인 최현(20기) 변호사와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사이버수사과장 등을 역임한 장우성(34기) 변호사를 주축으로 한 경찰수사 대응 전담팀을 신설할 방침이다. 율촌은 경찰청 특수수사과 팀장, 사이버수사실장을 지낸 최인석(35기) 변호사를 필두로 경찰수사대응팀을 운영 중이다. 율촌 관계자는 “경찰대 또는 변호사특채 등의 고위직 출신 경찰 전관을 채용 예정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명 '검수완박(검찰수사권 완전박탈)' 법안이 처리되 경찰의 역할이 대폭 확대된다. 이에 따라 경찰은 수사 역량 강화와 수사 지연을 막아야 하는 과제 역시 떠안게 됐다. 뉴스1
서초동 변호사들 “경찰 전관 없는 로펌 다 죽는다” 아우성
익명을 요구한 한 서초동 변호사는 “대형 로펌의 경찰 전관 영입은 이미 오랜 트렌드고, 중견급 이상부터도 영입 전쟁”이라며 “경찰은 검찰에 비해 전관 효과가 뚜렷하게 느껴진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