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 전유진 기자
중앙일보 오피니언 기획 시리즈 '나는 고발한다. J'Accuse...!'는 윤석열 정부 출범에 맞춰 새 정부에 바라는 20대의 가감없는 목소리를 전하는 번외편 '이의(이십대 의견)있는 고발'을 일주일 동안 연속으로 내보냅니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실망으로 정권에 등을 돌린 20대는 공정에 대한 기대로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하지만 후퇴 조짐을 보이는 여러 주요 공약 등으로 벌써부터 이들의 지지가 흔들린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이 차기 정부에 바라는 게 무엇인지 그 속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부정확한 사실로 사회적 갈등만 양산한다는 비판 끝에 결국 9일 운영을 접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비판하는 최원영 학생의 글, 국민은 여전히 고통받는데 K방역 자화자찬에만 열을 올렸던 지난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김지은씨 글, 월급 200만원 공약으로 이대남의 마음을 움직였던 군대 문제에 대해 쓴 유정민 학생의 글에 이어 오늘(12일)은 대학 인문 계열 출신 취업 준비생의 고통과 이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는 김창현씨의 칼럼이 나갑니다. 내일은 20대 젠더 갈등에 대한 글이 게재됩니다.
20대 남녀가 고루 섞인 이번 '이의있는 고발' 필진은 그동안 '나는 고발한다' 칼럼에 논리적 의견이 담긴 댓글을 달았던 애독자, 그리고 지난달 독자 칼럼 이벤트 응모자 가운데 주제 등을 고려해 선정된 분들입니다. 독자 칼럼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내보낼 예정입니다.
부정확한 사실로 사회적 갈등만 양산한다는 비판 끝에 결국 9일 운영을 접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비판하는 최원영 학생의 글, 국민은 여전히 고통받는데 K방역 자화자찬에만 열을 올렸던 지난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는 김지은씨 글, 월급 200만원 공약으로 이대남의 마음을 움직였던 군대 문제에 대해 쓴 유정민 학생의 글에 이어 오늘(12일)은 대학 인문 계열 출신 취업 준비생의 고통과 이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는 김창현씨의 칼럼이 나갑니다. 내일은 20대 젠더 갈등에 대한 글이 게재됩니다.
20대 남녀가 고루 섞인 이번 '이의있는 고발' 필진은 그동안 '나는 고발한다' 칼럼에 논리적 의견이 담긴 댓글을 달았던 애독자, 그리고 지난달 독자 칼럼 이벤트 응모자 가운데 주제 등을 고려해 선정된 분들입니다. 독자 칼럼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내보낼 예정입니다.
학교에서 배운 청산별곡, 위법성 조각사유, 삼각함수는 지금 기억에서 지워진 지 오래다. 하지만 '레디메이드 인생' 만큼은 뇌리에 또렷이 박혀 있다. 내 인생이 P와 크게 다르지 않게 흘러갈 것이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인 걸까. 고등학교 때 문과를, 대학에선 국어국문학과 정치외교학을 복수로 전공하고 졸업 후 반년째 취업 준비 중인 나는 몇 달 전 고교 입시 문제로 고민 중인 사촌 동생에게 인문계고가 아닌 미용고등학교를 추천했다. 공부에 크게 흥미를 보이지 않는 사촌 동생이 먹고사는 문제에 대비하는 게 현실적이라 생각했다.
10년째 지속되는 "문송합니다"

고교생이 문과의 미래 알기가 쉽나
선생님들이 상담사 역할을 해줘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다지 가능하지가 않다. 일선 고교 선생님들을 보면 수업과 행정 업무 외의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 그래서 학생 진로 상담은 보통 학기 초와 말에 도합 두 번 정도 진행하고, 상담 내용은 학생 진로나 미래가 아닌 내신과 수능 성적 중심이다.
대학 인문계 정원에 과감한 칼질 필요
![2019년 청와대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 주재로 시민사회단체 간담회가 열렸다. 엄창환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가 청년들의 취업난에 대해 이야기하다 눈물을 흘렸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2/57b166fa-2e19-4227-9fd2-da3835084235.jpg)
2019년 청와대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 주재로 시민사회단체 간담회가 열렸다. 엄창환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대표가 청년들의 취업난에 대해 이야기하다 눈물을 흘렸다. [연합뉴스]

공무원 일자리 늘리기, 언 발에 오줌 누기
일본은 2015년부터 정부가 “대학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전략적으로 집중 육성해야 한다”며 전국 국립대학 문과 계열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행했다. 다수 국립대는 문과 학부생 모집 규모를 큰 폭으로 줄였다. 우리도 박근혜 정부 당시 사회 수요에 맞게 인문계를 줄이고 이공계를 늘리는 내용을 담은 프라임 사업을 진행했다. 일부 대학에선 스스로 문과 계열 학과들을 통폐합하고 있지만, 2021년 4년제 일반대 졸업자 중 이공계보다 문과 비중이 높은 것을 보면 아직 갈 길이 멀다.
4차 산업혁명은 미래가 아닌 우리 삶에 닥친 현실이고, 코로나 19는 이를 심화했다. 슬기로운 산업 전환을 위해 지난 5년간 문과 구조조정에 관한 최소한 밑그림이라도 그려야 했지만, 문재인 정부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500쪽에 달하는 ‘문재인 정부 4년 100대 국정과제 실적’ 자료집에서 ‘인문계’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곳은 ‘상대적으로 취업이 어려운 인문계를 졸업한 청년들의 해외취업 기회가 확대됐다’는 문장 한 줄이 전부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정부의 실책을 본보기로 삼아 근원적 문제 해결에 나서길 바란다. 청년들의 고통은 국가적 비극이기도 하다.

김창현 취업 준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