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이 13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회 '삼성 6G 포럼(Samsung 6G Forum)'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3/5c3f3f91-581b-4547-a82f-532036d70e10.jpg)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이 13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회 '삼성 6G 포럼(Samsung 6G Forum)'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들을 모아 미래 기술을 논의하는 ‘삼성 6G 포럼’을 13일 열었다.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 시대 구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삼성전자가 개최한 첫 6G 포럼이다.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5G 네트워크 상용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6G 연구 개발(R&D)은 이미 시작됐다”면서 “6G는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융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6G 시대를 전망했다.
삼성, “지금이 6G 준비할 적기”
승 사장은 “6G 기술은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의 경험을 사람들에게 제공할 것”이라며, “바로 지금이 6G를 준비할 적절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 “선제적으로 투자해야 아쉬울 때 유용”
삼성은 2020년에 ‘6G 백서’를 발간했고 2019년부터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삼성은 이르면 2028년 6G 기술 상용화에 들어가 2030년부터는 본격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5G 기술이 상용화되기 훨씬 전인 2012년부터 5G 국제 표준화 작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던 것처럼, 다가올 6G 시대도 선제적으로 준비해 6G 글로벌 표준화와 기술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6G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국내 대학과 계약학과ㆍ연합전공 등 활발한 산학 협력을 진행 중이다. 올 1월 고려대와 6G를 포함해 차세대 통신 기술을 다루는 ‘차세대통신학과’를 계약하기로 했다.
온라인으로 열리는 이날 포럼은 삼성전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다. ‘6G 무선 인터페이스’를 주제로 미국 텍사스대 제프리 앤드류스 교수와 삼성리서치 아메리카 찰리 장 SVP, ‘6G 지능망’을 주제로 핀란드 오울루대 타릭타렙 교수, 서울대 심병효 교수 등의 강연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