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탠더드 부합하게” 주52시간제 유연화 속도낼 듯

노동개혁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코로나19 손실보상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안에 대해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코로나19 손실보상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안에 대해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취임 후 첫 국회 시정연설에서 “세계적인 산업구조의 대변혁 과정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노동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개혁을 연금·교육개혁과 함께 언급하며 “지금 추진되지 않으면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게 된다. 정부와 국회가 초당적으로 협력해야만 한다”고 호소했다.

‘민간 주도 성장’을 강조하는 윤 정부는 기업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역대 정권에서 미뤄왔던 노동개혁에 이젠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정과제에 포함된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와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등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16일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주 52시간 근무제’를 완화해 근로시간을 유연화하고, 노사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기업이 새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뤄야 할 노동 현안 1순위로 꼽을 정도로, 개선의 목소리가 높은 사안이다. 구체적으로 현행 1~3개월로 제한된 선택적 근로시간제 단위 기간을 1년으로 확대하고, 초과근로시간을 적립해 필요하면 휴가로 사용하는 ‘근로시간 저축계좌제’를 도입한다. 근로자가 평균적으로 주 52시간 근무를 유지하면서 직무·업종 특성에 맞게 총근로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관련기사

 
스타트업(창업 초기 기업)의 요구를 반영해 1주에 52시간 넘게 일할 수 있는 특별연장근로 대상에 스타트업을 포함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단기간 성과를 내기 위해 불가피하게 초과근무를 하고, 그에 걸맞은 보상을 해주는 스타트업의 생리를 고려한 조치다.

다만 이런 근로시간 유연화는 근로기준법을 고쳐야 하기에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의 협의가 필요하다.


연령이나 근속연수에 비례하는 임금체계는 고령화에 따른 기업의 부담 가중으로 청년 채용의 여력을 떨어뜨렸다는 비판이 많았다. 근속기간이 짧은 비정규직에 불리하게 작용하면서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도 확대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몸담았던 한 정부 관계자는 “중간관리자들이 연차가 높다는 이유로, 일을 더 많이 하는 젊은 세대보다 더 많은 임금을 받아가는 임금 체계는 고쳐야 한다는 게 윤 대통령의 지론”이라고 전했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윤 정부 노동개혁의 궁극적인 성패는 좋은 일자리를 얼마나 만들어 내느냐에 달려 있다”며 “‘노동 존중’이 아닌 ‘노동조합 존중’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문 정부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