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서울 용산구 한남동 거리에 대기 중인 배달 오토바이 모습. 연합뉴스
응답자 가운데 음식 배달 서비스를 이용한 1806명 대부분은 1000~3000원 수준의 배달료를 낼 의향이 있었다. 1000~2000원 구간의 배달료를 내겠다는 사람이 45.3%로 가장 많았고, 2000~3000원 구간(41%)이 뒤를 이었다.
이는 소비자 인식과 음식점주의 실질적인 부담에 간극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배달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한 사업자는 주문 건당 평균 3394.3원의 비용을 부담했다. 소비자 대부분은 3000원까지 부담할 수 있다고 했지만, 실제 업주가 부담하고 있는 배달비는 이미 3000원보다 많다는 의미다. 게다가 최근 배달 비용은 계속되는 고유가 등 소비자물가 오름세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배달료를 지급할 의향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로, 이들은 평균 1793.6원을 적정 가격으로 꼽았다. 이어 40대(1644.6원), 50대(1611원) 순이었다.
30대는 적정 배달료를 1554원으로 인식하고 있어 가장 낮은 지불 의향을 가졌다. 20대(1554.1원)도 30대와 비슷한 수준을 부담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월평균 소득(세전) 200만원 미만인 응답자의 적정 평균 배달료가 1880.3원으로 오히려 가장 높았다. 소득 400만원대가 1698.9원, 600만원 이상이 1627.1원으로 뒤를 이었다. 200만원대를 버는 사람의 배달료 지불 의향이 1495.2원으로 가장 낮았다.
배달 주문을 할 때 친환경 포장재로 변경할 수 있다면 추가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평균 1113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1.4%가 친환경 포장재로 변경할 수 있다면 ‘변경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변경 의향이 있는 응답자 비중은 여성(58.0%), 40대(56.5%)와 50대(56.4%), 5인 이상 가구 거주자(56.1%)가 높았다.
또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친환경 포장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진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을 계기로 외식산업에서의 양극화가 확대되고 있다”며 “외식산업 내 다양한 격차를 포용성장의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