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텍사스 총격 사건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5/f3d14a34-9f27-42c8-b479-61bd26b654b0.jpg)
2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텍사스 총격 사건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EPA=연합뉴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3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의 대만 침공 시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 개입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원고에 없던 돌발 발언으로, 이후 백악관 참모들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 등은 발언의 파문을 진화하는 데 애썼다. 폭스뉴스는 “전쟁을 일으킬 수도 있는, 바이든의 가장 최근 실수”라고 비판했다. 바이든 대통령도 24일 대만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모호성'이 폐기되는 것이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하며 엎질러진 물을 ‘주워담는’ 모습을 보였다.
WP “바이든은 첫 번째도, 두 번째도, 세 번째도 옳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5/80a2ab14-9059-4203-a6db-86c578d93fc5.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그러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는 침공했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라트비아·에스토니아는 침공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그들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제5조의 보호를 받기 때문”이라며 “그들에 대한 공격이 미국과 나토 동맹에도 전쟁을 선포하는 일이 된다는 것은 강력한 억지력”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위협을 받는 대만에 대해서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NYT “애치슨 실수 되풀이 말아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 중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5/f62faf78-9d42-4eca-8722-f085b2fc095b.jpg)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 중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WSJ “백악관 잦은 해명은 바이든 신뢰 훼손”
앞서 백악관 참모들은 바이든 대통령 발언을 해명하면서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은 ‘대만 관계법’에 근거한다”며 강조했다. ‘대만 관계법’은 1979년 미국이 중국과 수교하면서 제정한 법으로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대만과 비공식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사시 대만에 방어적 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단서를 남긴 법이다. 중국의 대만 침공 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명기하지 않는 미국의 ‘전략적 모호성’이 담겼다고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