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교육부 장관에 박순애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명했다. 대통령실 제공
대통령실은 26일 박 후보자를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지명하며 “정무·사법·행정분과 인수위원을 역임해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기획재정부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경영평가 단장을 맡아 공공기관의 경영실적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공공행정 전문가로서 교육행정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윤석열 정부의 교육 분야 핵심 국정과제 실현을 이끌어줄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정당 영입 제안도 끊이지 않아
학자로서 정부 활동도 꾸준히 참여해 왔다. 박 후보자는 2004년 이후 10차례 이상 기재부의 공기업경영평가단에 참여했으며,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회 기획조정분과위원회 위원, 국회국민통합위원회 사회분과 위원 등을 맡았다. 이 때문에 선거 때 정당에서의 영입 제안도 끊이지 않았지만, 박 후보자가 고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대대적 조직개편 이뤄지나

박순애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사법행정분과 인수위원이 4월 26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일하는 공직사회와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또 앞서 임명된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국무조정실 관료 출신이라 장관과 차관이 모두 교육과는 접점이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교육단체 관계자는 "유초중등 과제가 산적해있는데 차관에 이어 장관도 교육 현장 이해가 부족하면 결국 교육 홀대론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한 사립대 교수도 "인사는 메시지인데, 지금으로서는 현 정부가 교육 정책을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전혀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이 박 후보자 지명 사유로 ‘교육행정의 비효율 개선’을 꺼낸 만큼, 박 후보자가 취임하면 교육부의 대대적인 조직 개편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박 후보자가 인수위 시절 비경제 분야 정부 조직 개편 업무에 깊이 관여했다는 점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인수위 초기 '교육부 폐지론'이 불거졌던 만큼, 교육부의 비효율적 제도와 조직이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모교 교수 임용 실패 후 서울대 임용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교육부 장관에 박순애 서울대학교 교수(왼쪽 사진부터), 보건복지부 장관에 김승희 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을 지명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 오유경 서울대학교 교수를 임명했다. (대통령실 제공)뉴스1
민주당 "비교육자, 지명 철회"
이어 “윤 대통령은 대선에서 교육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우려를 자아냈다”며 “대통령과 장·차관이 교육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경험이 없는 대한민국 교육이 순항할지 걱정부터 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