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도발 다음날 밤 尹동선 뭐냐" 요구에…대통령실 "확인 못해"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과거에 비해 매우 투명하게 활동…출·퇴근 매일 공개”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북한의 첫 미사일 도발 다음 날인 지난 13일 밤 윤 대통령 동선을 공개하라는 야당 요구에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7일 “대통령의 일정은 업무 관련 또는 개인적 일정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공개가 필요한 주요 일정들은 대부분 공개한다”며 “(일정에 대해)그때그때 하나씩 이걸 가지고 와서 맞냐고 물어보면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은 자택에서 출·퇴근을 하는 중인데 이전 대통령과 비교하면 굉장히 투명하게 활동하고 움직이고 있다. 이전 대통령들 상황에서라면 대통령이 출·퇴근을 몇시에 하는지 출·퇴근 여부 자체가 거론된 사례가 없다”며 “대통령이 출근하는 모습을 매일 보고 취재진들과 질의응답 하는 과정을 통해 대통령은 투명하게 국민과 한 발 한 발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유튜브 채널 ‘열린공감TV’는 지난 25일 “윤 대통령이 13일 밤늦게까지 서울 서초동 자택 인근 술집에서 술을 마시고 취한 모습으로 지지자들로 보이는 식당 손님들과 사진을 찍었다”며 관련 사진을 제보받았다고 주장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해당 사진이 포토샵으로 조작된 것이라고 반발하며 “선거운동 참 더티하게 한다. 포샵(포토샵)을 할 거면 좀 티 안 나게 하든지. 사진마다 채감이 다 다른데 누가 이걸 진짜라고 믿겠나”라고 반박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그러나 대통령실의 공식 해명이 필요하다며 물러서지 않았다. 오영환 민주당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의 안보 대응 태세에 대한 국민 신뢰의 문제다. 논란을 오래 끌어서는 안 된다. 논란을 불식시킬 유일한 방법은 13일 퇴근 이후 윤 대통령의 동선을 공개하는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 정보 공개와 관련해선 “윤 대통령이 이미 여러 번 관련 정보가 공개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구체적인 정보공개 범위는 관계 기관과 협의 중인 상황이다.  

윤 대통령 취임 이후 불거진 ‘공기업 민영화’ 논란에 대해선 “정부는 공기업 민영화를 검토한 적도 없고 현재 추진 계획도 없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전날(26일) 미국 텍사스주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과 관련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희생된 이들의 명복을 빌고 부상자들의 조속한 쾌유를 바란다는 위로전을 보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