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오전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삼각지역에 설치된 발달장애인 추모 분향소를 방문해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의원은 이날 서울 용산 삼각지역 개찰구 인근에 마련된 분향소를 찾아 "(중학생 때) 어머니께 '내 인생은 나의 것이고, 그 끝은 내가 결정하겠습니다'라고 말씀드렸었다"며 "(이번에) 소리 없이 죽어간 친구들도 그런 생각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분향소는 최근 연이어 극단적 선택을 한 장애인 가족을 추모하기 위해 부모연대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이 지난 26일 설치했다. 지난 23일 오후 서울 성동구 한 아파트 화단에서 40대 여성과 발달장애가 있는 6살 아들이 숨진 채 발견됐다. 같은 날 인천 연수구에서도 30년 넘게 뇌병변 1급의 중증장애인 30대 딸을 보살펴 온 60대 여성 A씨가 딸에게 수면제를 먹여 숨지게 했다는 혐의를 받아 경찰 조사를 받는 중이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저희 어머니도 제가 중학생 때 그런 말을 하신 적이 있다. '너 죽고 나 죽자'는 말. 이런 말을 들어보지 않은 장애인 자녀는 손에 꼽을 만큼 적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항상 '준비된 가해자'여야 하는 (장애 부모의) 입장을 왜 이해 못 하겠는가. 이제는 우리가 어려움을 나누겠지만 어떤 상황에도 살인은 이해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목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죽어야만 했던 분들에 대해 우리 모두 관심을 갖고 함께해야 할 때"라며 "우리의 존엄은 누가 챙겨주지 않는다. 스스로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의 조문과 발언을 지켜본 전국장애인부모연대(부모연대) 회원들은 눈물을 흘렸다.
김 의원은 이어 "장애인 24시간 지원체계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있다. (이것이) 자리 잡도록 힘을 보태야 한다"며 "(정책 수혜를) 직접 받을 사람들의 입장이 먼저 반영되도록 여러분의 귀와 입, 손이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