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24일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7차 핵실험 움직임을 보이는 등 무력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문재인 정부에서 주춤했던 한ㆍ미ㆍ일 3국 협력 체제 복원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9/b34d464e-a20f-44f3-9a20-8947a628b53d.jpg)
북한은 지난 24일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7차 핵실험 움직임을 보이는 등 무력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문재인 정부에서 주춤했던 한ㆍ미ㆍ일 3국 협력 체제 복원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연합뉴스]
외교가에선 지난 28일 한·미·일 외교장관의 대북 공동성명 발표를 상징적 사건으로 보고 있다. 성명에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대북 제재 이행 ▲한·미 및 미·일 군사훈련 등을 강조하는 일반적 내용이 담겼다. 다만 3국 외교장관 간 별도 회담 등 아무런 계기가 없었음에도 공동성명이 발표됐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된다. 이날 공동성명 자체가 북한의 무력 도발에 맞서 한·미·일 3국의 ‘상시 공조 체계’가 작동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메시지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해는 차관 회견 파토, 올해는 장관 공동성명
![지난 2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한 한ㆍ미ㆍ일 북핵수석대표 협의. [외교부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9/63dd0b8e-0c17-4f52-b510-54db4ea3b8fc.jpg)
지난 2월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개최한 한ㆍ미ㆍ일 북핵수석대표 협의. [외교부 제공]
차관급 협의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한·미·일 외교차관은 지난 26일 통화를 갖고 북한의 ICBM 발사를 규탄한 데 이어, 조만간 차관협의를 개최하는 방안도 조율중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의 회복 이후인 6월 둘째 주 개최가 유력하다.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한 한ㆍ미ㆍ일 외교차관 협의. 당시 일본은 김창룡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에 항의하며 예정됐던 한ㆍ미ㆍ일 공동 기자회견이 무산됐다. [외교부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9/46afdda5-4f62-4cb1-b067-8b096dbf3168.jpg)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한 한ㆍ미ㆍ일 외교차관 협의. 당시 일본은 김창룡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에 항의하며 예정됐던 한ㆍ미ㆍ일 공동 기자회견이 무산됐다. [외교부 제공]
6월 말 3국 정상회의 가능성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3국 정상은 다음달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별도의 만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9/b55dc426-12d3-4eac-a137-339f58d95a55.jpg)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3국 정상은 다음달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별도의 만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한·미·일 3국은 최근 대북 제재 문제를 다루는 유엔 무대에서도 ‘잘 조율된’ 공통 입장으로 대응하고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이에 따라 기존 대북 제재의 완전한 이행 뿐 아니라 추가 대북 제재가 필요하다는 게 3국의 일관된 입장이다.
유엔에서도 '밀착 공조'
![장쥔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지난 26일 새 대북 제재 결의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로 추가 대북 제재는 무산됐지만, 중러를 안보리 무대에서 고립시키는 결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9/d25bfbca-c1a1-4ccf-a81e-67fd595f9797.jpg)
장쥔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지난 26일 새 대북 제재 결의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로 추가 대북 제재는 무산됐지만, 중러를 안보리 무대에서 고립시키는 결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합뉴스]
다음 달 8일엔 추가 대북 제재를 막은 중·러가 그 배경과 이유를 회원국에 설명하는 유엔 총회 본회의가 소집된다. 상임이사국이 특정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총회에서 그 사유를 설명하는 절차를 의무화하는 결의가 지난 4월 채택된 데 따른 결과다. 북한의 계속된 안보리 결의 위반에도 이를 옹호해온 중·러 입장에선 ‘말바꾸기’를 해명해야 하는 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