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당시 총괄선대위원장)이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에서 열린 비공개 오찬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인사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받는 이 의원이 출마할 경우 당권 장악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 의원이 출마해선 안 된다는 강경론부터 전당대회를 연기하자는 의견에 지도체제를 바꿔 당대표의 힘을 분산시키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친문’ 김종민 의원은 “지금 이재명이냐, ‘친문’(친문재인)이냐를 따지면 민주당은 망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7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과 인터뷰에서 “친 이재명도, 친 문재인도 아닌 우리가 함께 갈 수 있는 통합형 지도부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민주당은 아프고 곪아있는 상태다. 외과 수술이 필요하다”면서 “8월에 바로 전당대회를 열고 서로 세력다툼을 해 한 세력이 지도부를 구성하는 게 맞는가. 이게 민주당을 위해 좋은 길인가. 아니면 그러지 말고 혁신과 통합을 위한 노선 정립 작업을 새로운 비대위에서 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특히 외부의 목소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내부 시선 말고 외부에서 신뢰할 만한 사람들이 비판과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바로 전당대회로 가버리면 결국 다툼이 벌어질텐데, 민주당에 대한 근본적 변화 등에 고민이 되겠는가 하는 걱정이 있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현재 민주당 상황을 ‘친문 대 친명(친이재명) 간 계파 싸움’으로 짚는 정치권 일각의 시선을 두고는 “언론의 프레임이 잘못됐다”며 “토론을 하는 것이다. 큰 선거에서 두 번 졌는데 우리가 아무런 토론도 하지 않고 덮고 지나가면 무슨 통합이 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의 지방선거 참패를 두고 거세지는 ‘이재명·송영길 책임론’에 대해서는 “원인이고 뭐고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를 우리가 냉정히 보자는 것”이라면서 “직을 어떻게 하느냐 등은 쟁점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민이 볼 때 대선에서 지고 지선에서 또 혼났는데 아무런 반성 없이 (그때)무언가를 했던 대표적인 사람들이 또 당을 이끌겠다고 하면, 성사 되느냐를 떠나서 국민들이 보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날 전당대회를 내년 2월쯤으로 연기하는 방법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전당대회를 미루고 혁신 비대위를 재구성해 6개월 정도 당의 혁신과 통합의 노선을 만들어 나가는 평가와 반성, 그리고 혁신과 통합에 대한 이런 고민을 하는, 그리고 그 위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하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예정대로 8월 전당대회를 진행할 경우 계파 갈등이 더욱 극심해질 것을 우려한 셈이다. 혁신형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모두 적임자”라며 “우리 당의 혁신과 통합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는 분들”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당 내에서) 계파를 초월한 의원을 선임하는 게 맞지 않냐”고 덧붙였다. 우상호, 이상민 의원과 이광재 전 의원에 대해서도 “훌륭한 비대위원장 후보들”이라고 평가했다.
소장파 조응천 의원은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금은 양쪽 다 남 탓할 게 아니고 그저 내 탓이라고 자책하고 반성할 때”라며 이재명계와 친문(비이재명계)를 비판했다.
이 의원의 당권 도전 가능성에 대해선 “계양으로 간 것 자체가 그걸 전제하고 나선 것”이라며 “지금 타이타닉이 서서히 가라앉고 있는데 거기에서 선장 누구로 선출하느냐, 선장 뽑는 게 뭐가 중요하냐는 게 내 생각”이라고 했다.
조 의원은 아울러 “이재명 의원이 대표로 나선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원트랙으로 가야 하는 거 아닌가. 그래야 반대쪽에서도 극렬한 저항 같은 걸 덜할 거니까”라며 전당대회 선출 방식을 ‘집단지도체제’로 바꾸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현재 민주당 전당대회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해 당대표에게 힘을 몰아주는 방식이나, 과거 새정치민주연합 시절에는 계파 안배 차원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함께 치러 최다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득표자가 최고위원이 되도록 한 바 있다.
총선 공천권을 쥔 당대표 자리를 놓고 계파간 극한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당대표의 힘을 분산시키는 쪽으로 절충안을 제시한 셈이다.
한편 이재명 의원은 의원회관 사무실 출근길에 만난 기자들이 전당대회 출마에 관해 묻자 “아직 전당대회 부분에 대해선 시간이 많이 남아 있어서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말을 아꼈다.
자신을 향한 책임론에 대해서도 “우리 국민들과 또 우리 당원 여러분, 지지자 여러분들의 의견을 낮은 자세로 겸허하게 열심히 듣고 있는 중”이라며 즉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