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6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며칠 내로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한다”면서 “(북핵 대응에) 독자 행동은 가장 매력적인 방법도 아니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으로도 볼 수 없다. 특히 우리에게는 양자적, 삼자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한국과 일본이라는 가까운 동맹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태평양 지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의 위험성을 잘 이해하는 동맹과 파트너들이 있다”고 했다.

김정은
외교 소식통은 “아·태 지역과 유럽 주요국들의 경제력을 합치면 세계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게 사실”이라며 “안보리 제재처럼 모든 국가에 의무를 지우지는 못하지만, 제재의 실질적인 효과를 고려했을 때는 주요국 간 독자 제재 연합이 북한으로 유입되는 돈줄을 막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18년 5월 24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지휘소와 막사가 폭파되는 모습.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8/9373a0e3-57d5-4974-be3b-27697f7e0613.jpg)
2018년 5월 24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지휘소와 막사가 폭파되는 모습. [연합뉴스]
이달 말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도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대응과 함께 북핵 위협도 다뤄질 전망이다. 이 회의엔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이 초청받았는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참석이 유력하다.
한편 크리튼 브링크 차관보는 6일 워싱턴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한미 전략포럼’ 기조연설에서 “한국 방어와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따른 연합방위태세 강화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철통같다”면서 “미국의 전방위적 방어 능력을 통한 한국 방어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지 약속이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일은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데 있어 완전한 공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에 대한) 안보 약속을 지키겠다는 우리 약속은 절대적으로 철통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