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장으로 봉사할 수 있게 돼 개인적으로는 큰 영광이지만, 감염병 대응 체계 고도화 업무에 무겁고 엄중한 책임감 느낀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9일 오전 충북 청주시 오송읍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소회를 밝혔다. 지난달 18일 취임한 백 청장은 3주 만에 처음으로 언론과 소통하는 자리에 나섰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9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과학적 결정 바탕…목소리 강하게 내야"
이를 위해 방역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데이터만으로 부족한 경우에는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신설 등 폭넓은 전문가 참여로 집단지성을 활용한 의사결정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토대로 인구 집단 특성별로 방역정책을 마련하고 적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또 "1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는 7월 정도에 착수할 것 같다"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한 몇 차례 조사는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철수계 지적에 "친분보다는 전문성·능력"
행정 경험이 부족하다는 우려에 대해 "행정력에 대해서는 경험이 많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병원 안에서도 과장·실장 같은 보직 맡아서 이끌어왔고, 대한감염학회의 여러 임원진을 거쳐서 이사장까지 역할 했다”며 “작은 조직에서의 리더십 경험이 큰 조직으로 확대됐을 때 원칙적인 부분은 도움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맡았던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배우자 김미경 교수와의 친분으로 질병관리청장에 발탁된 게 아니냐는 질문에 "(임명권자가) 전문성과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저를 (청장에) 임명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의대 출신인 백 청장은 안 의원 1년 후배이자 김 교수와는 대학 동기다. "안철수 의원 부인과는 동기니까 다른 지인보다는 좀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면서도 "임명권자가 동문이라는 이유만으로 저를 뽑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