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접견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준석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206/11/f380198c-b666-4000-ae20-7d1019dab5e1.jpg)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접견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준석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권성동
전날 우크라이나에서 귀국하며 “국민이 좋게 볼 이유가 하나도 없는 모임”이라고 직격했던 이준석 대표는 이날에도 “자잘한 사조직”이란 표현을 쓰며 비판을 이어갔다. 모임의 좌장격인 장제원 의원과 운영진으로 참여하는 김정재·송석준·이용호·이철규·박수영·배현진 의원 등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도 참여하는 등 당내 대표적인 ‘친윤계’로 통한다.

장제원
이에 대해 민들레 소속 의원들은 “계파 모임이 아니다”거나 “오해”라고 반박했다. 장 의원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모든 분이 참여하는 오픈 플랫폼인데 ‘당 분열’이라고 딱지를 붙이고 ‘사조직’이라고 지적하는 건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5선의 정우택 의원과 조해진·정운천·조은희 의원 등 추가로 들어온다는 의원도 많은데 이게 무슨 당 분열이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용호 의원도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내부적으로는 15일 출범하려 했지만 시간이 촉박하고 지도부와 소통을 통해 오해를 불식시킬 필요도 있어 시기를 좀 늦추기로 했다”며 “속도 조절은 하지만 모임 추진을 중단하거나 그런 건 아니다”고 말했다.
민들레를 둘러싼 여권 내부 충돌을 또 다른 시각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윤핵관 그룹이 분화의 갈림길에 서 있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다. 윤핵관 중에서도 핵심인 장 의원과 권 원내대표가 윤석열 정부를 만들기까지는 정치적 목적이 동일했지만 향후 정치 행보나 당의 진로를 놓고는 방향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당 내부에서도 “인수위 시절부터 두 사람이 샅바 싸움을 벌인다는 얘기가 있었다”거나 “윤핵관이든 아니든 다 정치인인데 견해가 같을 수만은 없다”는 말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이 문제를 과잉 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장 의원도 “권 원내대표에게 모임이 외부로 알려지기 전에 운영 방식과 취지에 대해 설명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권 원내대표나 장 의원이나 각자의 입장에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것일 뿐 둘 사이의 관계엔 별 문제가 없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 만에 윤핵관 핵심 멤버들 사이의 이견이 표면화됐다는 점에서 간단히 볼 사안은 아니라는 반론 또한 만만찮다.
그런 가운데 지난 6일 불거진 이 대표와 당내 최다선(5선)인 정진석 의원 간의 감정싸움은 이날도 그 여진을 이어갔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소이부답(笑而不答)’이란 글귀가 적힌 액자 사진을 올렸다. 미소를 지을 뿐 답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앞으로 말을 아끼고 확전을 자제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반면 이 대표는 아직 앙금이 남아 있는 듯했다. 이 대표는 이날 취재진과 만나 “소이부답은 행동으로 하는 것이지 ‘소이부답하겠다’고 올리는 게 소이부답이겠느냐”며 “‘나 조용히 하겠다’는 걸 글로 올려놓는 것은 의아한 반응”이라고 꼬집었다.
둘 사이의 갈등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출근길에도 화제가 됐다. ‘여당 내 갈등이 심각하다’는 취재진 질문에 윤 대통령은 “정치하는 게 늘 그런 것 아니겠느냐. 대통령은 국가의 대통령이고 당의 수장이 아니다. 당 문제는 지켜보는 게 맞는 것 같다”며 거리를 뒀다. 원내 지도부도 확전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권 원내대표는 “당 지도부가 이렇게 싸우는 모습으로 비쳐 굉장히 송구스럽다. 엄청나게 많은 전화가 왔는데 두 분 모두를 비판하는 전화가 대부분이었다”며 “감정이 지나치게 섞이고 여과 없이 표출되는 건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당 안팎의 우려가 잇따르면서 당내에선 “이 대표와 정 의원의 갈등이 당분간 소강상태에 접어들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이 대표의 성 상납 의혹을 다룰 당 윤리위원회가 이달 하순 열릴 예정이고 이미 공천룰 개정 문제로 논란을 빚은 혁신위도 다음 주 출범을 앞두고 있는 등 뇌관이 산재해 있는 만큼 “재충돌은 시간 문제”라는 전망도 적잖다. 당 관계자는 “혁신위가 공천 시스템에 손을 대는 순간 또 다른 전쟁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