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일 체코 프라하에서 시민들이 치솟는 에너지 가격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의 강력한 조치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핀란드·스웨덴, 에너지 기업에 수십조원 긴급 자금

스웨덴 주요 경제 관계자들은 지난 3일(현지시간) “전력 회사에 2500억 크로나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왼쪽부터 스테판 잉그베스 스웨덴 중앙은행 총재, 미카엘 담베리 스웨덴 재무장관,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총리, 에리크 테덴 금융감독청장. AFP=연합뉴스
스웨덴 정부도 지난 3일 ‘에너지 기업들이 기술적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며 최대 2500억 크로나(약 31조 원) 규모의 신용보증 제공 방안을 발표했다.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스웨덴 총리는 “에너지 기업들이 전력 거래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담보금이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최악의 경우 세계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카엘 담베리 재무장관도 “지금은 에너지에 국한돼 있지만 대응에 실패할 경우 다른 금융 시장으로 (위기가) 전염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너지 위기가 금융위기 될까…위기 의식 커져

지난 2010년 4월 러시아 국영기업 가스프롬 직원이 노르드스트림1호 가스관 건설 기공식에서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 같은 우려는 지난 2일 러시아가 가스공급을 막으면서 커졌다. 러시아 에너지 국영기업 가스프롬은 이날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 가동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점검 중 기름 누출이 발견됐다”는 이유를 들었지만, 같은 날 G7 재무장관이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를 시행키로 합의한 데 대한 보복 조치라는 게 유럽의 생각이다. 에릭 마머 EU 집행위원회 대변인은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차단하고 이를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가스인프라스트럭처유럽(GIE)에 따르면 2일 기준 EU의 가스 비축율 평균은 81.2%다. EU가 올겨울 가스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내세운 목표치인 80%를 달성한 셈이다. 하지만, 이는 최악의 경우에 대비한 것에 불과하다. 이미 가스와 전기 등 에너지 요금은 다락같이 올랐다. 로이터는 “유럽의 가스 가격은 러시아의 가스공급 중단으로 지난해 대비 400%나 치솟고 이로 인해 전기요금도 폭등한 상태”라며 “업계에선 노르트스트림1 가동 중단 여파로 이번 주 유럽과 영국의 천연가스 가격이 사장 최고치를 찍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전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獨 ‘횡재세’로 88조 서민 지원금 마련

4일(현지시간) 독일의 사회민주당 주도 연정 지도자들이 3차 인플레이션 부담 경감 패키지 대책을 발표했다. 올라프 숄츠 총리(왼쪽)와 자유민주당 의장인 크리스티안 린드너 재무장관이 대책과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숄츠 총리는 “일정 기준 이상 이익을 낸 에너지 기업들로부터 수십억 유로 규모의 많은 세금을 거둬 서민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독일이 대규모 정전사태(블랙아웃)를 겪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독일 정부는 두 차례 가계 지원 대책을 발표했고 이번 650억 유로 지원책까지 포함하면 지금까지 독일 정부의 지원 규모는 950억 유로(약 129조 원)에 달한다.
EU 에너지 부처 장관들은 9일 브뤼셀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에너지 비용 억제를 위한 특별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블룸버그가 입수한 긴급회의 초안 문서에 따르면 EU 의장국인 체코는 러시아산 원유에 가격 상한제 적용, 전력 관련 파생상품 거래 일시 중단 등의 내용을 회의 의제로 올렸다. 초안 문서에서 체코 에너지 장관은 “난방 수요로 에너지 사용이 급증하는 올겨울이 EU 에너지 시장의 회복력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며 발 빠른 대응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