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전국위에서 당헌 개정안을 재적 인원 709명 중 찬성 415표로 처리했다. 새 당헌에는 비대위 출범 조건인 ‘비상상황’ 판단 요건에 ‘선출직 최고위원 및 청년 최고위원 5인 중 4인 이상 사퇴 등 궐위’, ‘최고위에서 전원 찬성으로 비대위 설치를 의결한 경우’가 포함됐다. 또 ‘비대위 설치 완료와 동시에 기존의 최고위는 해산되고 기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의 지위와 권한도 상실된다’는 내용도 들어갔다.

윤두현 국민의힘 상임전국위 의장 직무대행과 정동만 부의장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다. 김경록 기자
국민의힘은 오후엔 상임전국위를 열어 새 당헌을 토대로 당 상황이 비대위 체제 전환이 필요한 ‘비상 상황’이라는 유권해석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4일 오후 대구 중구 김광석길 콘서트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객석을 향해 인사한 뒤 발언대로 향하고 있다. 뉴스1
전날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권 상황을 공개 비판한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에도 비판을 이어갔다. 이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이날엔 발표하지 않겠다고 밝힌 기사를 첨부한 뒤 “가처분을 맞을 것이 두려워서 비대위원장이 누군지도 못 밝히는 비대위를 이제 추진합니까. 가처분이 아니라 민심을 두려워하면 안 됩니까”라고 적었다. 이 전 대표는 다른 게시물에선 가처분 신청서가 비대위원들에게 ‘송달 불능’ 상태라는 점을 보여주며 “수취인이 부재한데 어떻게 간담회는 또 여냐. 가처분 지연시키려고 하는 전술이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