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 용산구의 아동 양육시설인 영락보린원을 찾아 자립준비청년과 간담회를 하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사진 서울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07/896e5b5c-a200-44c4-a131-e28474fb264e.jpg)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 용산구의 아동 양육시설인 영락보린원을 찾아 자립준비청년과 간담회를 하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사진 서울시]
‘멘토·멘티 지원’…동아리 활동 땐 月 20만원 지급
우선 자립을 준비하는 15세 청년부터 심리적·정서적 지원 체계를 확대한다. 사회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배 시민 멘토’와의 결연을 지원한다. 또 자립준비청년이 취미 동아리나 모임을 운영할 땐 월 20만원의 활동비를 지급한다. 종합심리검사·상담 대상도 ‘예비자립준비청년’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예비자립준비청년이란 보호종료를 앞둔 만 17세 시설 내 청년이다.
자립준비청년이 원하는 일자리 교육과 취업연계 지원도 제공한다. 기술교육원과 함께 자립준비청년 맞춤형 교육패키지를 개설하고 아동복지시설에서 이들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마련한다. 서울시는 또한 오는 12월까지 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치하고 24시간 긴급 전화를 개설해 자립준비청년의 일상생활을 지원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 용산구의 아동 양육시설인 영락보린원을 찾아 자립준비청년과 간담회를 하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사진 서울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07/8465cebc-59e1-449e-a101-f8b1ef6d6cd9.jpg)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서울 용산구의 아동 양육시설인 영락보린원을 찾아 자립준비청년과 간담회를 하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사진 서울시]
지난해까지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은 주로 경제적 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서울시는 올해부턴 심리적·정서적 지원에 집중하기로 했다. 지원 방향을 수정한 이유는 최근 자립준비청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사연이 종종 전해지면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립청년 당사자와 현장 종사자, 학계 전문가 등 다양한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정서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이번 대책 발표 배경을 밝혔다.
자립수당·자립정착금·SH 임대주택 주거 지원
한편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은 용산 영락보린원에서 가진 자립준비 청년과의 간담회에서 “서울시에서만 한 해 200~300명 정도가 보호 종료되는데 사회적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