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23일(현지시간) 일본 도쿄(東京) 이즈미 가든 갤러리에서 화상으로 열린 인도ㆍ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식에 참석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모습. EPA=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8~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IPEF 장관급 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IPEF 출범 후 이뤄지는 첫 대면 장관회의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과 캐서린 타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공동으로 회의를 주최한다.

미국이 주도한 경제통상 플랫폼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는 한국과 일본, 호주 등 총 14개국이 회원국이다. 사진 블룸버그 캡처
이번 회의에는 한국의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해,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일본 경제산업상 등 14개국 관련 장관이 모두 참석한다.
“공동선언문에 中 견제 표현 다수 들어갈 것”

지난 5월 23일(현지시간) 일본 도쿄(東京) 이즈미 가든 갤러리에서 화상에서 열린 인도ㆍ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식에 참석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화상으로 14개 참가국 정상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AFP=연합뉴스
앞서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지난 2일 IPEF 장관회의 공동성명문에 14개 참가국들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고 공급망 강화, 경제 안보 협력 등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대면회의에선 “국제적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반도체·의료기기 등 필수 공급재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대 무역국인데…中 배제 꺼리는 참가국들

지난 7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항에 정박중인 컨테이너선의 모습. AFP=연합뉴스
블룸버그는 “일부 참가국은 자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인 중국을 배제하는 협정에 서명하길 꺼려한다”며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가능성은 낮지만 중국이 IPEF에 참여할 여지를 열어둘 것을 미국에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 행정부 관리들도 블룸버그에 “IPEF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양자택일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디지털 무역 분야와 노동, 환경 등에서 미국이 제안하는 높은 수준의 무역 규범을 제정하는 것도 합의까진 쉽지 않은 과정이 예상된다. 아세안 등 일부 국가는 규범 적용에 유예기간을 설정하는 등 유연한 규범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