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보다 안 팔린다…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 역대 최저치 지속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아파트 자료사진. 연합뉴스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아파트 자료사진. 연합뉴스

금리 인상과 경제 불안 여파로 주택 거래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가 역대 최저를 나타내고 있다.

1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계약일 기준 아파트 매매 건수는 지난 7월 643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역대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도 현재까지 신고된 건수가 540건에 그쳐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 신고 기한(계약 후 30일 이내)이 열흘가량 남아 있지만 국내 기준금리 인상 등 여파로 부동산 거래 시장이 사실상 '빙하기'에 진입한 상황을 고려하면 남은 기간에 100건이 넘는 매매량이 추가 신고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 예상이다.  

서울 빌라 매매 건수가 아파트 매매 건수를 추월하는 현상도 지난해 1월부터 지속되고 있다.

8월 들어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가 73건에 그친 데 반면, 빌라 매매 건수는 243건이 등록돼 세 배를 웃돌고 있다. 지난달 빌라 매매 건수는 1882건에 달했다.


통상 빌라는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아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도 잘 오르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인해 주택 수요자들 사이에서는 대체로 빌라보다는 아파트가 선호됐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강도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압력, 올해부터 본격화된 경기 침체 우려 등이 겹치면서 아파트 매매가 극도로 부진한 상황이다.

빌라 매매 역시 금리 인상과 경기 부진 여파로 지난 4월(3897건) 이후 감소세지만, 21개월째 아파트 매매량을 웃돌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7월 21.2%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통계(신고일 기준)에 따르면 지난 7월 강서구(83.4%), 양천구(81.3%), 강북구(80.3%)에서는 전체 주택 매매 10채 가운데 8채 이상이 빌라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가 집중되고 비싼 아파트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정비사업 기대감이 높은 빌라에 매수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서울 지역의 주택 매수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서도 신속통합기획이나 모아타운 등의 정비 사업 기대감이 높은 지역의 빌라는 거래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