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이 지난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김종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윤리위원회가 전날 이준석 전 대표에 ‘추가 징계 개시’ 결정을 내린 것을 두고 “윤리위 개최(사실을) 전혀 몰랐다가 개최 보도에 깜짝 놀라 정진석 비대위원장한테 ‘어떻게 된 거냐’고 했더니 정 위원장이 ‘내가 확인을 해서 알려주겠다’고 하는 등 잘 모르고 있더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19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제가 놀란 건 윤리위가 사실상 ‘아웃 오브 컨트롤(통제 불가)’로 통제뿐만 아니라 윤리위가 뭘 어떻게 하겠다는 것들을 당과 전혀 상의하지 않더라”고 했다. 그러면서 예시로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지방선거(6월 1일) 직후인 지난 6월 2일 이 전 대표에 대한 징계 여부 관련 윤리위 개최를 발표한 것을 언급했다.
김 위원은 “(당시) 당이 발칵 뒤집혔다”며 “나중에 알고 보니 김종인 위원장이 (이 위원장에게) 연락해 ‘그렇게 하면 안 된다’라고까지 이야기를 했고 당내서도 ‘그렇게까지 가면 안 된다’고 해 뒤로 늦춰졌다(6월 2일에서 7월 7일로 개최 연기)”고 말했다.
이 전 대표에 대한 '당원권 6개월 정지'와 더불어 이번 추가징계 개시 결정 모두 윤리위 스스로 움직여 내린 결론임을 강조한 것이다.
김 위원은 “그간 당원들과 의원들이 받은 상처가 적지 않다”면서도“이 전 대표도 상당 부분 하고 싶은 말씀이 있겠지만, 부부싸움을 해도 넘어서 안 될 선이 있다. 선을 많이 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수위에 대해선 “당원권 정지 기간이 1년이나 3년으로 늘어날 수도 있고 탈당 권유나 제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윤리위에서 결정하는 것이라 비대위원이든 비대위원장이든 아무도 예상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도 이날 국회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 전 대표에 대한 윤리위 결정에 대해 “윤리위의 소관 업무는 전적으로 윤리위에 (있다)”고 분명히 했다. 그는 윤리위의 결정에 배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에 대해선 “이양희 위원장님이 얼마나 강직하신 분인지 잘 모르고들 하는 말”이라며 “그 누구 무슨 얘기도 영향받을 분이 아니시기 때문에 그 누구도 윤리위원장님과 소통 못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리위는 전날 “당원, 당 소속 의원, 그리고 당 기구에 대해 객관적 근거 없이 모욕적·비난적 표현 사용 및 법 위반 혐의 의혹 등으로 당의 통합을 저해하고 당의 위신을 훼손하는 등 당에 유해한 행위”를 사유로 이 전 대표에 추가 징계 절차를 개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