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서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에 마스크를 쓴 어린이들이 앉아 있다. 연합뉴스
“안내장에 부작용 설명 없었다”…교장 고소한 이유
학생학부모인권보호연대의 신민향 대표는 “백신 부작용을 학부모에게 충분히 알리라고 일선 학교에 당부했다는 게 교육부와 교육청의 주장”이라며 “상급 기관은 부작용을 알리라고 했는데 학교가 이를 누락했다면(가정통신문에 적지 않았다면) 교장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교원단체는 교육부와 교육청이 소송을 대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총은 “상급 행정기관인 교육청이 피고(학교장 6명)에 대한 소송 일체를 대리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19일 발표했다. 조성철 교총 대변인은 “학교 현장에 책임을 전가한다면 추후 또 다른 감염병이 유행할 때 어떻게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겠냐”며 “상급기관인 교육청이 백신·방역 관련 학부모 민원 창구를 일원화하고 소송당한 학교장들을 대변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8월 19일 오전 학생학부모인권보호연대 관계자들이 백신 부작용 피해를 입은 학생에게 배상하라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세종시 교육부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학생학부모인권보호연대
교내 마스크 착용 방침과 관련한 민원도 이어지고 있다. 학생학부모인권보호연대는 지난달 말 전국 초·중·고에 공문을 보내 “마스크 착용 및 자가검진키트 사용을 강제할 경우 학교장에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하지만, 교육부에 따르면 아직까지 실내 마스크 착용은 의무다. 이해숙 교육부 국장은 “질병관리청 지침에 따라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의무 착용해야 한다”며 “다만 건강 이상으로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학생이 의사 소견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벗고 수업을 들을 수 있다”고 했다.
교사들은 명확한 지침과 민원 창구 일원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북의 한 공립초등학교 교사는 “당국 지침에 따랐을 뿐인데 학교가 고소당한다는 것은 황당한 일”이라며 “마스크 착용 예외 조건을 교육부가 정확히 알리고 학교가 민원접수 창구가 되지 않도록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