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미·중 갈등 장기화 등으로 국내 투자가 일부 되살아나고 있는 것은 맞다. 리쇼어링에 대한 인식도 우호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500대 기업의 올해 투자 계획을 조사했더니 10곳 중 6곳 가까이(57%)는 리쇼어링을 검토하고 있거나(27.8%) 정부 지원, 국내 환경이 개선될 경우 검토 가능성이 있다(29.2%)고 답했다. 리쇼어링을 검토 중인 기업 비율은 2020년 3%와 비교해 9배 이상 늘었다.
기업 10곳 중 6곳 리쇼어링 검토 가능성

경기도 화성시 기아차 화성공장에서 직원들이 차량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현대차그룹
그러나 현장에서는 “비현실적인 얘기”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재계는 기업 규모별로 25%는 사정이 다르다며, 특히 대기업에 대한 조건을 완화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금융 대출이나 보증 때 해외 실적을 인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정부, 국정 과제에 복귀 지원 강화 포함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순한 조건 완화와 인센티브 확대를 넘어 현재 국제정세에 맞는 보다 전략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단기간 국내 노동 여건을 개선할 수 없어 인건비 때문에 해외로 간 중소·중견기업이 돌아오게 하기는 어렵다”며 “반도체 등 전략적으로 필요한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금까지 나온 것 이상의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업들의 물류비 부담이 커졌다. 사진은 부산 남구 부산항 용당부두. 뉴스1
“경제안보 차원의 컨트롤타워 필요”
파격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고도 제언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미국이 시행하는 법인세 10년 면제, 토지 무상 지원 같은 화끈한 지원 없으면 (리쇼어링 정책이) 성공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배호영 중소기업중앙회 KBIZ 중소기업연구소 연구위원은 “주 52시간제나 중대재해처벌법, 화학물질관리법 같은 노동·환경 규제가 너무 심하다”며 “아예 클러스터나 특구를 조성해 규제를 파격적으로 풀어주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