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이 때리니 권성동 살았다?…국힘서 이런 말 나오는 이유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치고 원내대표실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치고 원내대표실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

 
지난 11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중앙선관위에 후보 등록을 마친 뒤 했던 가장 이례적인 당내 인사는 권성동 원내대표의 유임이었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사의를 표명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의 후보 교체를 주도했었고, 지난 8일엔 “알량한 대선 후보 자리를 지키려는 참 한심한 모습”이라며 김 후보를 직격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후보는 같은 단일화파였던 이양수 전 사무총장은 경질하면서도, “선거 중 원내대표 선출은 부적절하다”며 권 원내대표의 자리를 지켜줬다. 당내에선 김 후보가 이런 결정을 한 이유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지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 전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한 전 총리로의 후보 교체를 시도했던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페이스북에 10여건의 게시물을 올리며 이른바 쌍권(권영세·권성동)을 “친윤 쿠데타 세력”이라고 몰아붙였다. 한 전 총리로의 후보 교체 찬반 투표가 시작됐던 지난 10일 오전 “북한에도 이렇게는 안 한다. 아직도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그 추종자들에 휘둘리는 당인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한 전 총리 후보 변경 찬반조사가 부결된 뒤 11일엔 “당내 쿠데타를 주도한 사람이 자리보전을 하면 미래가 없다”고 권 원내대표의 사퇴도 요구했다. 친한계도 의원 단톡방에 “권 원내대표는 분명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가세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5차 전당대회에서 경선에 배패했던 한동훈 예비후보와 포옹하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지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5차 전당대회에서 경선에 배패했던 한동훈 예비후보와 포옹하고 있다. 뉴스1

당내에선 이같은 친한계의 조직적 반발이 오히려 김 후보의 선택지를 좁혔다는 분석이 나왔다. 새 원내대표 선출이 친윤과 친한 사이 계파 갈등으로 비화하며 당이 분열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는 것이다. 김문수 캠프 김행 시민사회총괄단장은 12일 SBS 라디오에서 “원내대표 선거를 하면 계파 분쟁이 일어난다. 친한계도 후보를 내고, 중도, 친윤 쪽에서도 나올 것이라”며 “그러면 선거를 못 치른다. 김 후보는 통합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문수 캠프 박종진 전략기획본부장도 CBS라디오에서 “사실 캠프에서는 (권 원내대표에) 감정이 있다. 하지만 김 후보는 ‘자꾸 사퇴하라는 식으로 얘기하면 안 된다’고 한다”고 전했다.  

영남 지역의 한 국민의힘 의원은 “한 전 대표가 경선에서 패배한 직후부터 당원 모집 운동을 하는 것이 잘 납득이 안 된다”며 “권 원내대표 사퇴 요구도 결국 차기 당권 다툼의 문제로 바라보는 의원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구 지도부 측에선 한 전 대표가 윤 전 대통령 부부를 거론하는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하는 분위기도 전해진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이미 지난 탄핵 국면에서 극단 정치와 거리를 둔 쌍권(권영세·권성동)과 윤 전 대통령의 관계는 단절됐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한 전 대표의 비판을 수긍하면서도 “밖이 아닌 안에서 목소리를 내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는 우리 당의 큰 자산이다. 일단 선대위원장을 수락하시고 당에 들어와 그런 부분을 피력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