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이르면 23일부터 전면 해제될 전망이다. 2020년 10월 실내ㆍ외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지 약 2년 만의 일이다. 이런 전망이 나온 건 22일 보건당국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논의와 관련해, “21일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논의가 있었고, 관련 내용을 23일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보고하고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에서 그동안 주간 위험도 평가와 유행 상황, 향후 유행예측 그리고 마스크 착용 의무 관련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라며 “마스크 착용 의무 완화에 국민적 관심도가 매우 높은 상황임을 모두 공감했다”라고 말했다.
자문위 관계자는 “실외는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이 낮아 마스크 의무를 풀자는 데 위원들 간 이견이 없었다”며 “특별히 준비가 필요 없는 만큼 발표 직후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거로 본다”고 말했다. 지난 5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완화됐을 때를 비춰보면 주말을 지나 26일부터 시행될 가능성도 있다.

지난 5월 실외 마스크 제한 해제 이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한 학생이 마스크를 들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실내 마스크는 겨울철 재유행 우려를 고려해 최소 올해까지는 의무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자문위 관계자는 “자문위에서 실내 마스크 의무도 즉시 풀자는 의견이 생각보다 꽤 나왔다”라면서도 “아직 위원들 간 의견 간극이 크고 한쪽으로 정리가 안 돼 섣불리 결론 내리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영유아의 언어 발달 지연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마스크 의무를 풀자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 위원회 관계자는 “언어 발달 때문에 마스크를 벗는다고 하면 보육교사는 어떻게 할 것이냐. 보육교사 의무를 같이 해제하면 다른 이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생긴다”라며 “조금 더 같이 참고 다 같이 벗는 게 단순하고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기석 자문위 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실내 마스크 해제 시점에 대해 “내년 봄쯤이 안전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방역 완화책으로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 해제나 요양병원 대면 면회 재개 등도 검토하고 있지만, 23일 발표에는 담기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