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상으로 학교에서 다른 애들이 수군댈 생각 하면 숨이 막힌다.”

미성년자 사생활을 노출한 방송프로그램 장면. 10살짜리 아이가 동생을 돌보고있다. 사진 MBN 방송 캡처
자녀 개인정보 노출하는 ‘미성년자 육아프로그램’
예컨대 해당 프로그램에 출연한 4남매 중 첫째인 A군(10) 은 아직 초등학생이지만 동생 3명을 돌보는 데 일과 시간 대부분을 할애한다. 24세 아버지와 어머니가 싸울 때도 A군은 동생들을 돌본다. A군은 방송 중 동생들을 살뜰히 보살피는 이유로 “엄마가 동생을 낳고 화장실에 누워있는 장면이 기억에 있다”고 말한다. 어머니가 둘째를 임신한 줄 몰랐다가 화장실에서 출산한 일을 떠올린 것이다.
미성년자의 어두운 사생활이 방송은 물론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나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무분별하게 노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들의 사생활이나 개인 정보가 방송이나 SNS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성년자의 과거사가 방송 등을 통해 일단 노출되면 평생 지우기 어려울 수도 있다.
실제 일부 방송 프로그램에서는 중학생이 포경수술 하는 장면이나 부모가 싸우는 동안 어린아이가 방치되는 장면 등이 등장하기도 했다.
아이들 사생활을 다룬 방송을 본 네티즌은 ‘애들 얼굴이랑 이름은 가려달라’거나 ‘방송 출연 동의하면 다 보여줘도 되는 거냐’는 식의 댓글을 단다. 고교생 부모를 주제로 한 해당 종편 프로그램 유튜브 채널에도 이런 댓글이 3000개 이상 올랐다. 방송 출연자를 ‘없는 집안 자식들’이라고 표현한 댓글도 있다.
A군처럼 방송을 통해 미디어에 노출된 뒤 온라인 재생산 방식으로 상업적 이득을 취해도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방송 출연 아동·청소년의 권익 보호를 위한 표준 제작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아동 출연자 개인정보 노출이나 온라인상 상업적 이용 기준은 정하지 않았다.
방송 영상, 온라인서 반복 재생산

아동·청소년 개인정보 보호 기본계획 내용 중 일부. 사진 개인정보위 자료 캡처
아동·청소년 출연자 개인정보 보호 기준 마련해야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 속 장면. 미성년자가 포경수술 받는 장면이 그대로 방송 전파를 타 논란이 된 가운데 '방송 출연에 있어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에 관한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사진 살림남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