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신용평가기관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자영업자(개인사업자)가 전체 금융권에서 받은 개인사업자대출은 지난 6월 말 기준 688조2633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637조4783억원)보다 7.9% 늘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 상가에 붙어 있는 '폐점' 문구. 뉴스1
25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신용평가기관 나이스평가정보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개인사업자)가 전체 금융권에서 받은 개인사업자대출은 지난 6월 말 기준 688조2633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637조4783억원)보다 7.9% 늘었다.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수는 325만327명으로 지난해 말(279만10명)보다 16.5% 늘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실제 다중채무를 지닌 자영업자에 대한 부실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대출의 지표금리로 사용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는 지난해 말 1.29%에서 이달 23일 3.07%로 뛰었다.
한은은 금리 인상으로 저소득ㆍ영세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은 0.56%포인트 오른다.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ㆍ저신용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1.808%포인트 치솟는다. 같은 조건에서 가계대출 다중채무자의 연체율 증가 속도(0.966%포인트)보다 눈에 띄게 빠르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금융당국도 자영업자의 빚 폭탄을 막기 위해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달 말 종료 예정이었던 중소기업ㆍ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조치는 사실상 ‘재연장’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25일 제4차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금융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해주는 연착륙 방안을 10월부터 시행한다고 결정했다.
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자영업자의 대출 금리를 깎아주거나 채무를 조정하는 새출발기금 등 지원책도 이달 말부터 시동을 켠다. 자영업자 맞춤형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은 다음 달 4일 출범에 앞서 이달 27일부터 온라인 사전신청을 받는다. 90일 이상 연체한 부실차주는 순부채에 한해 원금의 60~80%를 감면해주는 게 특징이다. 기초수급자, 중증장애인, 만 70세 이상 저소득 고령자 등 상환 능력이 거의 없는 취약계층은 감면율이 최대 90%다. 연체 30일 이하인 부실우려차주는 9% 초과 금리를 9%로 낮춰준다. 채무 조정 한도는 총 15억원(담보 10억원, 무담보 5억원)이다.
자영업자의 고금리 사업자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주는 대환 대출은 이달 30일부터 신청을 받는다. 연 7% 이상 고금리 사업자 대출을 연 6.5% 이하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이다. 상환 기간은 총 5년으로 2년 거치 후 3년간 분할 상환하면 된다. 대출 한도는 개인 사업자는 5000만원, 중소 법인은 1억원이다.
윤창현 의원은 “다중채무자는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