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사립대의 강의실 모습. 뉴스1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금융상품에 투자한 사립대 42곳 중 25곳이 손실을 기록했다. 이들 25개 대학의 손실액은 270억 원에 이르렀다. 42개 대학 전체 손익은 183억 원 적자였다.
대학의 금융상품 투자 규모는 2019년 1조3495억 원에서 지난해 1조4642억 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반면 수익률은 2019년 0.9%, 2020년 2.5%를 기록하다 지난해 -1.3%로 급락했다.
투자원금이 1억 원 이상인 사립대 중 수익률이 가장 낮은 곳은 영남대로, 지난해 5억4193만 원의 투자원금 중 남은 평가액은 1878만 원으로 -96.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경남대(-64.5%), 경동대(-53%), 우송대(-14.6%), 대구가톨릭대(-11.7%)도 10%가 넘는 손실을 보였다.
100억 원 이상 투자한 대학들은 손실률이 낮은 편이었으나 손실 금액은 수십억 원에 이르는 경우가 많았다. 동덕여대(수익률 -3.3%)는 1045억 원을 투자해 34억 원의 손실을 봤다. 1773억 원을 투자한 연세대(수익률 -2.1%), 3002억 원을 투자한 이화여대(-1.7%)는 각각 37억원과 52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100억 원 이상 투자한 대학 중 수익을 낸 대학은 서강대·포항공대·용인대·홍익대 4곳에 그쳤다.
등록금 동결 등으로 수입원이 준 대학들은 적립금으로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법적 한도(50%)를 늘려달라는 입장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지난달 국회 교육위원회에 증권 취득 한도를 적립금의 75%까지 상향해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도종환 의원은 "교육부와 대교협은 대학 재정 확보를 위한 노력과 함께 금융상품 투자에 대한 관리·감독 방안 역시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