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추진 중인 법안은 한해 쌀 생산량이 예상 수요량의 3% 이상이거나 쌀 가격이 전년보다 5% 넘게 떨어지면 정부가 의무적으로 초과 생산된 쌀을 매입하게 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 법이 공급과잉을 불러오고 재정 부담을 가중한다며 불가 입장을 밝혔다. 정부가 반대하는 법안을 놓고 169석 민주당이 강행 처리 수순에 나서자, 국민의힘은 “거야(巨野)의 입법 독주”라고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정부 대책 해결책 안 돼”…강행 처리 주문
박홍근 원내대표 역시 “쌀값 폭락은 해마다 반복되는 일인데, (정부 대책처럼) 단기적으로 처리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오늘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식품위원회에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상정ㆍ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5일 소위에서 단독 처리한 데 이어, 상임위에서도 단독 처리하라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신속 처리를 주문하자, 전날 “물량만 보면 괜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던 민주당 소속 농해수위 위원들도 법안 처리 의지를 굳혔다. 여야 간 협의가 평행선을 오가면서 오후 3시 열릴 예정이던 농해수위 전체회의도 오후 4시 45분에서야 열렸다. 회의 시작과 함께 의사봉을 잡은 민주당 소속 소병훈 농해수위 위원장은 이 법안을 상정했다.
안조위도 윤미향 카드로 무력화…與 “대통령 거부권 요청”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소병훈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김경록 기자
국민의힘 간사인 이양수 의원은 이날 안건조정위 신청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초과 생산된 쌀을 무조건 사준다는 건 포퓰리즘”이라며 “민주당이 단독 처리하면 대통령한테 거부권 행사를 권유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 법안을 이 대표가 주도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이 대표가 여러 사법 절차를 밟는 것이 연일 뉴스 초점이 되다 보니, 다른 쪽에서 분란을 일으켜 회피해보려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양수 국민의힘 간사가 양곡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과 관련해 여야 합의가 되어있지 않은 것에 대해 항의를 하며 의사일정안을 수거해 갈 것을 요청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