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8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더 맑은 서울 2030' 기자설명회에서 2050년까지 추진할 서울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28/6725fe9d-d12b-41c0-9d59-e1e1a26dd250.jpg)
오세훈 서울시장이 28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더 맑은 서울 2030' 기자설명회에서 2050년까지 추진할 서울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마을버스 등 경유차 4만5000대 ‘전기차’로
이를 위해 우선 서울시는 택배 화물차·배달 이륜차·마을버스·청소차 등 총 4만5000여대의 경유차를 저공해차로 바꾸는 데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앞서 2007년 ‘맑은서울 2010’ 땐 서울 시내버스를 친환경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전환했는데, 아직 마을버스 중에선 457대(28%)의 경유차가 남아있다. 시는 앞으로 이 차를 4년간 모두 전기차로 바꾸겠단 방침이다. 배달 이륜차, 택배 화물차 등도 각각 2025년과 2026년까지 전기차로 교체한다.
서울시는 또 “서울에 진입하는 경기·인천버스의 39% 해당하는 경유차도 CNG나 전기버스로 바꾸기 위해 지자체간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이미지. 중앙 포토
운행제한 5등급→4등급 차량 확대…2050년 내연기관차 無
이에 따라 시는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의 사대문 안 운행을 제한하고 2030년엔 시 전역에서 운행을 제한하기로 했다. 또 2035년부터는 내연기관차 신규등록을 금지하고 15년 뒤인 2050년엔 서울 전역에서 내연기관차를 완전히 퇴출하는 게 목표다. 여기에다 내년부터 4등급 경유차를 조기 폐차하면 대당 400만 원씩 매년 1만대를 지원한다.
![서울시 내연기관차 운행제한 계획. [사진 서울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28/21486e08-1ad2-40c9-9022-aac9fadacf46.jpg)
서울시 내연기관차 운행제한 계획. [사진 서울시]
가정용 보일러·노후 건설기계도 ‘친환경’으로
이와 함께 공사장 내 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후 건설기계 사용 제한 공사장을 늘리기로 했다. 현재는 총면적 10만㎡ 이상 대규모 공사장만 노후 기계 사용이 제한되지만 2030년엔 1000㎡ 이상 공사장까지 확대한다. 이외에도 세탁소·인쇄소·지하철·어린이집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공간 등에 유해물질·미세먼지 저감시설을 설치하고 공공부문부터 친환경제품 사용을 확대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종합대책을 실행하면 서울 대기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2만8000개의 일자리와 8조 4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