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29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교육부 장관(이주호), 경제사회노동위원장(김문수) 인선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대통령실은 29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과 관련해 "미국과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언론은 한미 동맹을 날조해 이간시키고, 정치권은 앞에 서 있는 장수 목을 치려 한다"며 "이건 아니라고 본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백브리핑에서 "한미동맹 싫어하는 분들은 좋아할지 모르겠으나 국가 전체로 봤을 때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비서실장은 "가짜뉴스만은 좀 퇴치해야 하지 않나"라며 "과거에도 보면 선진국 같은 데선 가짜뉴스를 무지 경멸하고 싫어하는데 우리는 관대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광우병 등 여러 가지 사태에서도 봤듯이 그런 가짜뉴스는 사회를 병들게 하고 국민을 이간질할 수도 있다"면서 "저희는 엄중하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비서실장은 "'비속어 논란' 관련해 윤 대통령께 여쭤봤는데, 지나가는 말로 해서 기억하기 어렵다고 하셨다. 윤 대통령께서도 상당히 혼란스러워하신다"라며 "불분명한 사실을 기사화할 경우 반드시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그런 걸 안 거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문가들에게 음성분석 요청도 했지만 무슨 말을 했는지 잘 나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박진 외교부 장관 해임건의안에 대해 김 비서실장은 "해임건의안까지 갈 사안은 아니다"라고 딱 잘라 말했다.
그는 "외교참사라고 하지만 만약 외교참사였으면 오늘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여기 오셨겠느냐"면서 "해당 당사자, 당사국들이 잘된 거로 하는데 우리가 스스로 이걸 깎아내리는 건 좋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시다시피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쏘고 금융시장은 달러 강세로 출렁거리는 상황에서 지금은 어느 때보다 미국과의 협력이 절실하다"면서 "이런총칼 없는 외교전쟁 상황에서 선두에 있는 장수의 목을 친다는 건 시기적으로나 여러 측면에서 맞지 않다고 보고, 국회에서도 잘 판단해주시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