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021 중앙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30/20409599-8b2e-4bba-93b5-879fb464c8d6.jpg)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2021 중앙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의 인선 결과를 발표했다. 이 후보자의 발탁 배경에 대해 김 실장은 “17대 국회의원과 청와대 교육과학문화수석, 교과부 1차관과 장관을 역임하는 등 교육 현장과 정책에 두루 정통한 교육전문가”라며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는 미래 인재 양성, 교육 격차 해소 등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할 적임자”라고 말했다. 이로써 지난달 8일 박순애 장관이 사퇴한 이후 53일 만에 새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됐다.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코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KDI(한국개발연구원) 교수를 지낸 이 후보자는 MB 정부의 교육정책 설계자로 꼽힌다. 자율형사립고와 마이스터고 신설이 대표적인 그의 작품이다. 2010~2013년에 교육부 장관을 지낸 인물을 다시 발탁한 배경과 관련해 김 비서실장은 “장관 재직 당시 자사고 신설 등을 소신껏 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장관 후에도 에듀테크(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육) 사업을 하면서 교육 격차 해소에 헌신했다”고 말했다. 김 비서실장은 또 “새로운 인물을 물색했는데 솔직히 청문회 과정이 너무 힘들고 가족들도 반대해 거의 다 고사했다”며 “지금처럼 탈탈 터는 식으로 청문회를 하면 상당히 부담돼 가족들도 다 반대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김 비서실장은 김 전 지사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전광훈 목사와 자유통일당을 창당하고 극우 성향 집회에 나간 것에 대해선 “극우 아니냐는 말도 많았던 것 같은데 노동계 의견을 두루 들어보니 그러진 않았던 것으로 안다”며 “노동계에 대한 애착이 많고 현재의 노동계 분들과 유대관계도 좋아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