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의 한 대형 서점 역사 참고서 진열대. 뉴스1
교육부는 30일 한국교원대에서 2022개정교육과정 역사 교과 공청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발표한다.
고교 한국사 등 공청회 시안 발표
수정안에 따르면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에 있었던 ‘6‧25전쟁’이라는 문구가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으로 바뀌었고, ‘성취기준 해설’에 ‘8‧15광복’도 포함됐다. 또 경제성장에 대한 긍정적 서술을 위해 ‘산업화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이라는 표현을 ‘산업화의 성과를 파악’으로 수정했고, ‘신자유주의’는 삭제됐다. 이 밖에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의’ ‘독도 문제’를 새롭게 추가했다.
반면 근현대사 영역 성취기준 해설 중 ‘민주주의’를 서술할 때 ‘자유’의 가치를 포함해달라는 의견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대신 ‘대한민국 수립’ ‘대한민국 건국’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지난 19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국민의 주요 의견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2차 의견 수렴 등 진행해 올해 말 최종 확정
한편 교육부는 지난 28일부터 2022개정교육과정 교과별 공청회를 진행 중이다. 30일에는 역사 교과 외에 국어‧사회‧체육‧미술 교과 등에 대한 공청회가 열린다. 교육부는 공청회 내용과 2차 국민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시안을 수정‧보완할 예정이다. 장홍재 교육부 학교교육지원관은 “공청회 후 필요하면 각론조정위원회나 개정추진위원회를 열고, 이후 행정예고를 거쳐 다시 한번 국민 의견을 받는다”고 말했다. 2022개정교육과정은 국가교육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올해 말까지 교육부 장관이 확정‧고시한다. 학교 현장에는 2024년 초등 1‧2학년부터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