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서울 중구 명동 국제금융센터에서 열린 제3차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미소짓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강공을 택한 것은 애초 민주당의 박 장관 해임건의안 의결 움직임이 감지될 때부터 ‘터무니없는 정치 공세’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난주 5박 7일간의 영국ㆍ미국ㆍ캐나다 순방을 통해 적잖은 외교적 성과를 거뒀음에도, 야당과 일부 언론이 이를 폄훼하고 있다는 게 윤 대통령의 기본 인식"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약식회견 날 오후 김대기 비서실장은 북한의 핵 사용 법제화와 동해에서의 한ㆍ미 연합훈련, 금융시장의 불안정한 움직임 등을 열거하며 “지금 어느 때보다 미국과의 협력이 절실할 때로, 총칼 없는ㆍ 외교전쟁의 선두에 있는 장수의 목을 친다는 건 시기적으로나 여러 측면에서 맞지 않는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내부적으로는 이번 일이 윤 대통령의 순방 중 비속어 논란의 출구가 될 거란 계산도 깔려 있다. 결과적으로 거야(巨野)의 국회 독주가 부각돼 여러 논란으로 이탈해 있는 여권 지지층이 결집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야당이 박 장관 해임 건의안을 밀어붙인 건 자신의 지지층만을 겨냥한 무리수로, 여권에선 ‘하려면 해 보라’는 기류가 있었다”며 “불리한 여론 흐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발표 이후 여야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 대변인은 “민주당은 이제라도 민생을 도외시한 정쟁을 멈추고, 정기국회를 협치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논평했다.
해임 결의안을 밀어붙인 민주당은 윤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고 나섰다. 이수진 원내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내고 “윤 대통령이 해임건의안을 즉각 거부한 것은 여론과 국회를 무시하는 오만과 독선을 다시 한번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라며 “외교 대참사의 진상규명과 대통령 사과, 책임자 문책이 이뤄질 때까지 강력히 저항하겠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