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MZ노조 '새로고침'과의 노동자협의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 장관이 새로고침을 만난 것은 지난 14일 윤석열 대통령이 개편안에 대한 보완 검토를 지시한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 장관은 지난 15일에 새로고침과 첫 간담회를 했다.
이 장관은 노동개혁의 중요성과 근로시간 개편의 취지를 거듭 설명하며 “그 과정에서 근로자들의 건강권과 휴식권은 충분히 보장돼야 하고, 포괄임금 오남용 등 정당한 보상을 하지 않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MZ노조 '새로고침'과의 노동자협의회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이 장관은 이에 대해 “정부는 청년, 미조직, 중소기업 근로자 등과의 폭넓은 소통으로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보완 방안을 강구하겠다”며 “우려되거나 보완이 필요한 점을 말씀해주시면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전날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재차 밝혔지만, 새로고침은 개편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유준환 새로고침 의장은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와 만나 “입장이 변하지 않았다. 물론 60시간 상한이 이전 안(69시간)보다는 낫겠지만, 이 상한도 결국은 노동자가 원하지 않는 안에 대한 일종의 대응책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주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처음 밝힌 지난 16일에도 “69시간이든 60시간이든 지금 상태로는 69시간까지 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며 대했다. 유 의장은 이날도 “원래 취지였던 근로시간 선택권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아직 있는 것 같다”고 반대 의사를 지켰다.
그는 “정부가 연장근로 시 휴식을 보장한다고 하는데, 이 연결고리를 잘 만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금은 이를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지가 없다”고 세밀한 대안의 제시를 촉구했다. 정부는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개편안을 보완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재확인했다.
이 장관은 ‘대통령이 주60시간을 두 번이나 말했는데 보완할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그런 내용을 다 담아서 가장 좋은 방법이 뭘까 (생각하겠다)"며 "입법예고 기간인 만큼 충분히 고민하고 많이 듣겠다”고 했다. 아울러 양대노총도 만날 계획이 있다며 “원래 저희의 계획은 개편안이 나오면 현장부터 국회까지 노사 모두를 폭넓게 만나서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