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부터 신호철 카카오페이 결제그룹장, 김재현 카카오모빌리티 카오너사업실장, 조한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외협력실장, 신민균 카카오 전략기획그룹장, 춘 쿽 (Choon Quek) 사우디아라비아 관광청 아시아태평양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 알하산 알다바그(Alhasan Aldabbagh) 최고책임자 . [사진 카카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23/ec2586de-21b2-4680-a360-d0ef64933e4f.jpg)
좌측부터 신호철 카카오페이 결제그룹장, 김재현 카카오모빌리티 카오너사업실장, 조한규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외협력실장, 신민균 카카오 전략기획그룹장, 춘 쿽 (Choon Quek) 사우디아라비아 관광청 아시아태평양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 알하산 알다바그(Alhasan Aldabbagh) 최고책임자 . [사진 카카오]
카카오는 23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사옥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관광청과 사우디 관광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IT 인프라 구축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지난 1월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싱가포르투자청(GIC)으로부터 총 1조2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지 약 4개월만이다. 카카오와 사우디의 ‘오일머니’ 동맹이 IT사업 전반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이날 행사에는 신민균 카카오 전략기획그룹장을 비롯해 카카오엔터·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페이 등 주요 계열사 임원이 참석했다. 사우디 관광청 측은 알하산 알다바그 아시아태평양지역(APAC) 최고책임자, 춘 퀵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자리했다.
논의 내용은
왜 중요해
관광 산업은 사우디가 주목하는 미래 먹거리 중 하나다. 사우디 정부는 지난 2016년 발표한 탈석유 프로젝트 ‘비전 2030’의 일환으로 비석유 부문 정부 재정수입을 320조 원대까지 키운다는 목표를 내걸고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앞서 사우디 관광청은 2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 호텔에서 개최한 ‘관광 로드쇼’에서 향후 10년간 관광산업에 1조 달러(약 1313조원)를 투자하고, 올해 한국인 관광객 5만3000명을 유치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실적 반등의 계기?: 사우디와의 협력 확대는 카카오의 실적 개선에도 긍정적인 변수다. 카카오는 지난 1분기 영업이익 711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반토막(-55.2%) 수준으로 줄었다. 성장 동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향후 사우디에 관광분야에 도입될 IT 기술을 수출하거나 서비스를 도입할 경우 실적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다.
◦ 글로벌 진출 가속화: 카카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비욘드 코리아’ 전략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카카오의 기존 해외 진출 전략은 카카오엔터 등 콘텐트 사업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사우디 사례처럼 카카오의 IT 서비스도 해외 진출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신민균 전략그룹기획장은 “사우디 전반의 관광 인프라 환경을 고도화하고, 카카오가 보유한 다양한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양국이 문화·기술 교류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