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뉴스1
의대 정원 확대 2년 9개월 만에 재개하는 의·정

2020년 8월 열린 '4대 악(惡) 의료 정책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총파업 궐기대회'에서 의협 회원들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 등에 반대하며 손 피켓을 들고 있다. 뉴스1
의협 관계자는 “지난 1일부터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에 들어가면서 2020년 의정합의문에 따라 의대 정원 확대 논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의료계도 협상을 거부할 명분이 없는 셈이다.
의대 정원은 2000년 3507명에서 의약분업을 계기로 차차 줄어 2006년 3058명이 됐고 18년째 그대로다. 일단 복지부는 2025년부터 의약분업 때 감축된 인원(351명)보다는 의대 정원을 더 늘리는 방침을 세운 상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 인구 1000명당 의사는 2.5명으로, OECD 가입국 중 멕시코(2.4명) 다음으로 적으며 OECD 평균(3.7명)의 67% 수준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5일 SBS라디오에 출연해 “의사 선생님들이 반대하지만 잘 협의해서 강력한 의지를 갖추고 (의대 정원 확대가) 2025년 입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구상과 반대로 협상은 난항 예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3 수험생들이 지난 1일 서울 송파구 방산고등학교에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의 간호법 거부권 행사로 의협이 한발 양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의협의 고위 관계자는 “2년 전 의대생들이 유급을 감내하며 의대 정원 동결을 쟁취했는데 섣불리 복지부 뜻에 따라가진 않을 것”이라며 강경 노선을 예고했다. 김이연 의협 대변인은 “현재 한국 의료에 닥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의사 수를 수치적으로 접근하는 게 1순위가 아니다”라며 “필요로 하는 의료진이 포함된 의료 공급시스템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