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광온 원내대표 등 의원들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당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2시간 반 가량 비공개 의총을 진행했다.
의총에 참석한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이날 4선인 김상희 의원은 최근 이재명 대표 사퇴를 거론한 비명계 의원들을 향해 “언론에 나가서 당대표 사퇴를 운운하는 건 경솔하고 무책임하다”면서 “지금 우리는 내년 총선을 위해 이 대표가 단식 투쟁이라도 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5선인 설훈 의원은 “이 대표가 이 시점에서 사퇴하는 게 상식적으로 맞는다”고 반박했다.
설 의원은 김남국 의원의 암호화폐 투자 논란, 전당대회 돈 봉투 사태, 이래경 혁신위원장 사퇴 논란 등을 언급하면서 “이 대표는 더 이상 실기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이 87년·92년 대선 패배 후 일선에서 물러났다가 대통령에 당선됐던 사례를 언급하며 “이 대표가 앞으로 10~20년 정치를 하려면 지금은 당대표직에서 물러나는 게 맞는 판단”이라고 했다.
설 의원의 발언에 일부 친명 의원들의 야유가 터져 나왔다. 몇몇 의원들은 “그만 좀 하세요”라며 큰소리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또 “그러면 본인이 사퇴하라” “불출마 선언해라”라는 지적도 나왔다.
한편 민주당은 논란이 됐던 자당 몫 5개 국회 상임위원장의 선출 기준을 이날 확정했다. 당대표, 원내대표, 최고위원,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등 주요 당직자들과 장관 이상 고위 정무직 인사는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위원장직 자리를 두고 박광온 원내대표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소셜미디어(SNS)에 공개 저격 글을 올리는 등 크게 반발했던 정청래 최고위원도 뜻을 굽혔다. 정 최고위원은 이날 “선당후사 하겠다”며 “다시 상임위원장을 요구하거나 맡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