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법조계와 업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부장 이준동)는 최근 클레이스왑 운영사인 오지스의 최고기술경영자(CTO) 최모씨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클레이스왑은 코인 예치·교환 서비스다. 김 의원은 지난해 자신이 보유한 여러 코인을 맡긴 뒤 보상을 받거나 다른 코인으로 교환하는 데 이 서비스를 이용했다.

김남국 무소속 의원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김 의원은 수십억원대 코인 보유 의혹이 제기된 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 김현동 기자
김 의원이 게임 관련 코인인 마브렉스를 사고 팔 때 이용한 서비스도 클레이스왑이다. 그는 지난해 4월 말~5월 초 클레이스왑을 통해 위믹스·클레이를 마브렉스 1만9700여개(당시 약 9억원)로 교환했다. 같은 해 5월 1일부터 마브렉스가 빗썸에 상장된 5월 6일까지는 마브렉스 일부를 스테이블코인 테더로 교환하는 식으로 팔았다. 이에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김 의원의 투자 손익 여부와 무관하게 마브렉스 상장 관련 미공개 정보를 사전 취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밖에도 위믹스 등 40여개의 코인 일부를 클레이스왑에 예치해 그 보상으로 클레이스왑 토큰(KSP)을 받거나, KSP를 예치한 뒤 신규 코인 홍보 물량을 무상으로 받는 ‘에어드롭’ 서비스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검찰은 지난달 22일 서울 여의도 소재 오지스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에어드롭을 비롯한 김 의원의 거래 내역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이후 이 업체 핵심 관계자를 불러 해당 거래에 관한 기초적인 사실관계를 전반적으로 캐물었다고 한다.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 간사인 윤창현 의원 등은 지난 5일 오전 서울 신정동 서울남부지검에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코인 거래 의혹 관련 수사촉구서를 전달했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이 미공개 사전정보를 이용해 코인을 거래하고 이를 자금세탁 용도로 활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뉴스1
김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어떠한 불법이나 위법이 없었다”거나“거래 내역을 보면 들어가고 나간 게 전부 투명하게 나온다”고 해명하고 있다. 그는 자금세탁·사전정보이용 등의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 김성원 진상조사단장과 장예찬 최고위원을 지난 7일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