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감사원 '권익위' 감사 관련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정리된 문서를 들고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감사결과보고서를 최종 승인하는 과정에서 절차를 건너뛰었다고 전날 지적한 조은석 감사위원에 정면으로 맞선 것이다.
김 본부장은 “감사보고서가 공개되기 전날(8일)밤 조 감사위원이 마지막으로 수정 요구를 한 내용이 ‘도저히 반영할 수 없는 내용’이어서 반영할 수 없었다”고 항변했다. 감사위원회에서 논의가 되지 않았거나, 사실과 다른 사항이라 의견을 반영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김 본부장은 전현희 권익위원장에 대한 감사를 벌였던 특별조사국을 지휘하는 책임자다.
그는 “제 기억으로는 어떤 중대한 감사든 시행과정에 이렇게 자주 위원 열람을 한 사례는 없었다”라고 했다. 또 "주심 위원이 감사위 의결내용과 시행안에 다른 게 있다면,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9일 공개된 감사결과보고서는 전현희 권익위원장이 상습적으로 출근 시간이 늦었고, 권익위 내부 갑질 직원에게 탄원서를 써주는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조 감사위원은 12일 내부 게시판을 통해 감사위원의 최종 검수를 받기 전에 시스템에 먼저 등록됐다면서 “다른 감사위원 그 누구도 사전에 이를 알지 못했다”, “헌법기관에서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 발생된 데 대해 망연자실할 따름”이라고 했다.
감사위원회는 감사원장을 포함한 감사위원 7명으로 구성되는 감사원 최고 의결기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