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서울에서 팔린 아파트 10채 중 4채는 실거래가가 10억원을 넘겼다. 사진은 이날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남구 아파트 단지. 뉴스1
6일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7월 서울 아파트 거래 2만1629건 중 10억원 이상 거래는 8562건으로 39.6%를 차지했다.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6년 이후 7월 누적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10억원 이상의 거래 비중은 2017년 11.1%에서 2019년 25.6%까지 오른 뒤 2020년(21.6%) 주춤했다가, 2021년과 지난해 36.4%로 다시 치솟았다.

정근영 디자이너
종로구(57.5%)와 강동구(53.9%)는 올해 처음으로 10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종로구는 무악·홍파·평동 위주로, 강동구는 고덕·명일·상일동 중심으로 비교적 고가인 신축 아파트 거래가 활발한 영향이 컸다. 실제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은 지난 1~7월에만 168건이 팔려, 지난해 연간 거래량(16건)의 10배를 웃돌았다. 이 중 10억원 미만 거래는 4건뿐이었다. 반면 강북구(1.1%)와 도봉구(1.4%)는 10억원 넘는 비율이 1%대에 그쳤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입지가 우수한 고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15억원 초과 아파트 대출도 허용되면서 1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