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SK지오센트릭·SK엔무브·SK트레이딩인터내셔널·SK아이이테크놀로지·SK어스온 등 자회사와 함께 하반기 신입 공채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정근영 디자이너
하지만 반도체·배터리·조선 등 일부 업종을 빼고는 기업 전반적으로 고용 여력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취업 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10곳 중 8곳가량(78.8%)이 하반기 채용 계획을 확정지었다. 이 비율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다가 올해 1.6%포인트 하락했다. 채용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힌 대기업은 9.6%였다.

김영희 디자이너
SK그룹 역시 지난해 2027년까지 5만 명, 연평균 1만 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주력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의 이번 채용 규모는 소폭에 그칠 전망이다.
한 해 평균 1만 명을 고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던 현대차그룹은 현대차와 기아의 올해 상반기 직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847명, 64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김영희 디자이너
하반기 인턴 채용 계획이 있는 대기업은 4.9%에 그쳤다. 지난해 15.3%에서 3분의 1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상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조사팀장은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지 않는 분위기”라고 봤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중견·중소기업, 비수도권 기업의 고용 여력은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다”고 했다. AI나 배터리 분야의 ‘고급 두뇌’ 부족과는 대조를 이룬다.
최근 3~4년 새 사라지다시피 했던 정기 공채의 ‘부활’도 눈에 띈다. 서미영 인크루트 대표는 “채용 규모 자체가 줄면서 번거롭게 여러 번 공고를 하기보다는 한 번으로 통합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