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카카오는 카카오톡에 '전화번호로 친구 추가 허용' 옵션 도입해 자동 친구 추가를 막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사진 카카오
13일 카카오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에 ‘전화번호로 친구 추가 허용’ 옵션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톡을 최신 버전(v10.3.5)으로 업데이트한 이용자들은 카카오톡 설정 내 프로필 관리 영역에서 ‘전화번호로 친구 추가 허용’ 옵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이 옵션을 비활성화할 경우 다른 사람이 내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어도 친구 추가가 되지 않는다. 전화번호 검색을 통한 친구 추가도 불가능하다. 옵션을 비활성화한 이용자를 친구로 등록하기 위해선 친구 탭 내 상단에 있는 친구 추가 기능을 통해 카카오톡 ID를 검색해 추가하거나 친구 추가용 QR 코드를 활용해야 한다.
아직 카카오톡 단체채팅방에서 친구의 프로필을 눌러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기존에는 상대방이 이용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경우 자동으로 친구로 등록됐다.
이 때문에 번호만 있다면 원치 않는 상대가 개인의 프로필 사진이나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했다. 카카오는 이날 “피싱, 스팸 등의 불필요한 메시지로 스트레스를 받았던 이용자의 불안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변화는 카카오가 진행 중인 ‘카톡이지’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카카오는 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지난 5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간 타인에게 단체채팅방 퇴장을 알리지 않는 ‘조용히 나가기’, 잘 사용하지 않는 단체채팅방에서 메시지가 쌓여도 빨간색 배지 알람이 뜨지 않는 ‘조용한 채팅방’ 등 개선이 이뤄졌다.
또 이날 카카오는 실험실 기능이었던 ‘말풍선 더블탭 공감 기능’을 정식 기능으로 반영했다. 모든 이용자가 대화 말풍선을 더블탭해서 자신이 설정한 ‘하트’ 등 공감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또 업데이트를 진행한 이용자는 보유한 채팅방별 데이터 크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유한 캐시·미디어 데이터를 일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양주일 카카오 카카오톡 부문장은 “(카카오톡을 활용한) 대화의 양이 많아지고, 소통 목적 등도 다양화되며 이용자 불편과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개선·추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개선 사항들을 반영해 이용자 만족도 및 편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